학술논문
A Comparison of Shopping Satisfaction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in Korea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박춘엽(Choon-Yup Park) 정월순(Wol-Soon Chung)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7권 제4호, 35~5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9년 통계자료에 의하면 2008년도 방한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 수는 전체 방한 외국인 관광객 수의 50%를 상회하는 정도로 비중이 크다. 최근에 한국 정부는 중국인 관광객 증대를 한국 관광산업 발전의 핵심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수는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일본인 관광객 수를 추월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우리나라 관광쇼핑 업체가 중국인 관광객에 대한 쇼핑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일본인 관광객에게 적용했던 관광쇼핑 서비스와는 다른 중국인 관광객의 니즈에 맞는 관광쇼핑 서비스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방한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만족도를 비교 연구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차별화된 관광쇼핑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시의성이 크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한 일본인과 중국인 방한 관광객의 쇼핑만족도를 비교하여 이들 각각에 대한 차별화된 관광쇼핑 서비스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연구방법은 만족도 특성에 대한 기대치와 지각치의 차를 비교하는 차이 분석법을 적용하였다. 일본인과 중국인 방한 관광객 각각 200명에 대하여 리커트 7점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조사한 만족도 특성은 9가지인데, 일컬으면, 가격, 품질, 성능, 포장, 상품에 대한 지식, 접객태도, 의사소통, 그리고 교통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방한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특성은 여러 가지로 다른 점이 많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방한 일본인 관광객과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품목이 크게 다르다는 점이 나타났다. 둘째, 쇼핑 만족도 특성에 대한 기대치에 있어서, 일본인 관광객은 대체로 중위수보다 낮은 값을 보였고, 중국인 관광객의 기대치는 중위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들 두 나라 관광객의 기대치의 차이를 보면 중국인 관광객의 기대치가 일본인 관광객의 그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쇼핑 만족도 특성에 대한 지각치를 보면,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 모두 중위수보다 높았다. 그런데 중국인의 지각치는 일본인의 그것보다, 의사소통을 제외하고는,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쇼핑 만족도를 만족도 특성 별로 보면, 일본인 관광객의 만족도가 중국인의 그것보다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국 관광객의 만족도 구조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면, 일본인 관광객의 경우 기대치는 낮지만 지각치가 높아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 중국인 관광객의 경우에는 지각치는 일본인의 그것보다 높지만 기대치가 너무 높아서 결과적으로는 만족도가 일본인 관광객에 비하여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중국인 관광객의 기대치를 다소 현실화시켜야 최종 만족도를 올릴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인 만족도는 일본인 관광객의 경우가 중국인의 그것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이는 만족도를 특성 별로 분석한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일본인과 중국인의 방한 관광객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일본인과 중국인 관광객의 관심의 대상이 되는 상품이 크게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하여야 한다. 둘째, 일본 관광객의 쇼핑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상품의 포장을 개선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중국인 관광객의 쇼핑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의사소통과 상품에 대한 설명을 개선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관광객들에게 현실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방한 관광 쇼핑에 대하여 필요 이상의 기대를 하지 않도록 할 필요도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관광 진흥 정책 또는 전략 관계자, 그리고 관광 쇼핑산업 종사자에게 주는 시사점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e sum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in 2008 accounts for more than 50% of the total foreign tourists visiting Korea according to relevant statistics published in 2009. This research is specially timely because we need to develop appropriate tourism strategy to attract both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which have assumingly different shopping needs, and Korea is pushing hard to increase Chinese tourist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mpare shopping satisfaction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in Korea. We study satisfaction in nine shopping attributes: price, quality, design, performance, package, knowledge, attitude to customers, communications, and transportation. Satisfaction is measured by the difference or the gap between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in the nine shopping attributes. We use 7-point Likert scal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the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are quite different in many aspects. First, shopping goods and services of the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are quite different. Second, expectations of Japanese tourists in all of the nine shopping satisfaction attributes are lower than or equal to the median value, while those of Chinese tourists are higher than the median for all selected nine attributes. Third, in regard to perceptions, tourists of the both countries are higher than or equal to median value. However, comparing the expectations of the tourists, we find that those of Chinese tourist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Japanese.
Forth, examining satisfaction of the tourists using the differences between expectations and perceptions, we find that Japanese tourists are satisfied in seven shopping attributes except price and packaging. It should be noted that Japanese tourists have low expectation and perception in packaging. However, Chinese tourists appear to be dissatisfied significantly in the of attributes of communication and knowledge on products.
Finally, in the survey question on overall satisfaction, both Japanese and Chines tourists indicate higher than median number, meaning that both of them are satisfied with shopping in Korea. Comparing values of the countries, Japanese response is higher than that of Chinese in more number of attributes. In particular, the Japanese overall satisfaction scor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nese tourist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 regard to tourism policy and retail strategies are as follows. First, since shopping goods of the tourists of the two countries are different. Korean retailers of shopping goods for tourists should be aware of this fact, and put this in consideration in developing composition of goods and services and retail strategies. Secon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Korean retailers should give more elaborate packaging service especially for Japanese tourists. Third, for Chinese tourists on the other hand, Korean retailers should develop means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Chinese tourists and ability to explain features of products and services in the Chinese language. Finally, these implications suggest that tourism policy makers in Korea should develop adequate programs to educate the retailers and travel guides so that they can improve satisfaction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for the shopping attributes in which they are not sufficiently satisfied yet.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view of Previous Studies
Ⅲ. The Research Method
Ⅳ. Data and Analysis
V. Conclus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법인세법상 생명보험 과세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 정보시스템이 기업의 전략, 고객만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국의 말콤볼드리지 국가품질상을 중심으로
- 한국 국가(Sovereign) 신용부도 스왑(Credit Default Swap) 스프레드 기간구조를 이용한 부도율 실증분석
- 서비스 인카운터에서의 서비스 전달과정에 관한 연구
- 탈냉전기 중앙아시아의 파이프라인 구축에 대한 소고: 러시아와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 협력과 갈등을 중심으로
- 덴마크 공공 고용서비스 발전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DR을 통한 통신 분쟁 해결의 현황 및 개선방안
- Cultural Diplomacy of China Towards Europe:Its Implications and Evolution
- 우리나라와 영국의 중소기업 지원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 부품·소재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요인분석: 대일무역역조 시정을 중심으로
- 한국형 입학사정관제의 개념창출과 발전방안
- 프랑스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 A Comparison of Shopping Satisfaction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in Korea
- 글로벌 도전 극복을 위한 과학기술 국제협력 거버넌스: 국제원자력기구의 다자적 과학기술협력 분석을 중심으로
- 글로벌 유통환경 변화에 따른 온라인 소매유통 채널에서의 소비자 우선 선호경로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T-Commerce 소매채널을 중심으로
- 아테네 비극과 민주주의 : 「안티고네」를 중심으로
- 中國農業發展銀行의 現況 및 發展方向에 관한 硏究
- 한국 식품영양산업 유통채널의 영향력과 갈등 및 만족에 관한 연구
- 外国人の対日観に関する研究: 日本滞在歴の長い韓国人の場合
- 한-EU 미래 과학기술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 포괄적 협력 협정 체결을 통한 EU FP 참여 확대 방안을 중심으로
- 한국레저기업의 언어커뮤니케이션 및 비언어커뮤니케이션이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골프장 캐디 서비스 중심
- 중소기업 경영자의 태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이용한 KOSPI200 실현변동성 예측력 향상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의 경영전략과 회계정보시스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인공지능(AI)과 윤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Journal of Asia Social Science Vol.13 No.3 Contents
- An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in Sons and Lovers from the Perspective of Ethical Literary Criticism
- The Multidimensional Construction of China-Pakistan Community with Shared Futur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