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17
-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호정(Hojung Kim) 김가람(Garam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1호, 75~11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과정 관련 논저들을 분석하여 연구 동향과 성과를 확인하고,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체계적 문헌 고찰이라는 연구 방법을 통해 선정된 논문 210편을 대상으로 연구 시기, 연구 목적, 연구 내용,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00년대 초반 특수 목적 한국어 특히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국어기본법 발효와 함께 교원자격제도에 관한 교원 교육과정, 표준 교육과정, 한국어(KSL) 교육과정 등이 시기적으로 활발하게 논의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목적별로는 교육과정의 개발과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가 비슷한 분포를 보였고, 비교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 내용에 있어서는 통합 영역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고, 단기 거주자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최근에는 대학(원) 유학생, 결혼 이민자와 자녀 등의 장기 거주자로 대상이 다양화되고 있었다. 연구방법의 유형은 문헌 연구가 대부분이고, 뒤를 이어 양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요구분석 단계에서 설문조사를 주로 활용하기 때문이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인 층위와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층위로 구분하여 후속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특히 교육 과정 개발 층위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와 KSL 교육과정 대상자를 위하여 내용중심교수법(CBI)에 기반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고, 단기 연수생을 위한 참조 기준 개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의 다양화를 위해 요구 분석 방법 및 대상 설정의 다양화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nd suggests further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purpose, we collect referenc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nd then analyze them through a systemic review. Through search DB, 210 references were selected; the references were then analyzed by year, purpose, contents, and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research has increased sharply since 2000, as the number of learners grew. After declar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ct and KSL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research and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 research increased. This paper suggests two research directions: theory and practical curriculum development. First, there must be an increase in research regarding curriculum theory and detailed discussions of the meaning of Korean for each learner. Second, in order to develop curriculum for academic-purpose learners and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the curriculum should utilize content-based instruction. Furthermore, a common reference system is needed for each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to develop the curriculum and design a syllabus for short-term traine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vary the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to conduct needed analysi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제언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퍼스를 활용한 피동사 연어 구성의 통계적 분석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이다’ 용례 분석을 중심으로
-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위논문 내용 구조 분석 연구 - ‘선행연구 검토’ 부분을 중심으로
- 생태언어학 기반 언어문화교육의 내용 재개념화 방향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 및 학습자 요구 분석
- 교수자의 학습자 모어 사용이 제2 언어 텍스트에 미치는 영향 -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문학·언어 수업의 병행 프로그램연구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 다문화교실에서 역할극을 통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 상호문화성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기관 한국어 학습멘토링 프로그램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 동서양 사상에 기반한 인성교육 방향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