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 및 학습자 요구 분석

이용수  22

영문명
Current Situation of Foreign Students Adapting to Korean Culture and Analysis of Learners’ Demand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최은숙(Eunsook Choi)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1호, 223~25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과 문화적응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학습자 현황 및 요구 분석을 위해 한국문화적응척도와 설문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문화교육프로그램 설계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작업으로 부산 지역에 위치한 D대학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문화적응척도’를 측정하였다. 각 하위 요인 간의 문화적응의 현황을 살펴보면, ‘한국 생활문화 이해 및 친숙도’ >‘한국인과의 사회적 교류 및 대인관계’ > ‘한국 대중문화 이해 및 친숙도’ > ‘한국어에 대한 친숙도’ > ‘한국어의 사회적인 활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으로의 유학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으로 보통 한류를 비롯한 한국 대중문화를 주목한다. 이를 감안하다면 ‘한국 대중문화 이해 및 친숙도’가 가장 높은 적응력을 보일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본 척도의 측정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의 일상생활 문화와 한국인과의 사회적 교류 및 대인관계에 대해 긍정적 적응의 양상을 보였다. 한편 현재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경험 및 요구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면담 및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의 경험 및 만족도에 관한 부분과 학습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의 선호도에 관한 내용이었다. 한국문화적응프로그램과 관련하여 ‘한국사람 및 다른 사람과의 교류할 수 있다’는 점에 대한 긍정적 답변의 비중이 높았다. 문화적응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들의 관심이 사람들과의 교류에 있다는 점은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그리고 한국문화적응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 결과, ‘한국인과의 사회 교류 및 대인관계 프로그램’ 과 ‘한국의 일상(전통)문화 이해 및 체험 프로그램’ 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문화교육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통해 학습자인 외국인 유학생의 현황과 요구를 고려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관한 다양한 사례가 이어지길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urrent condition of how foreign students adapt to Korean culture and learners’ demand for a cultural adaptation program. Korean cultural adaptation criteria and a survey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and demand and a cultural educational program design was proposed. To analyze how foreign students adapt to Korean culture, “Criteria of Korean cultural adaptation for foreign students” was employed on foreign students of B university located in Bus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cultural adaptation situation between each subordinate element indicated the following sequence: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with Korean customs” >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Koreans” > “Understanding and familiarity with Korean pop culture” > “Familiarity with the Korean language” > “Social uti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survey on programs considered most necessary for Korean cultural adaptability revealed increasing demand for “Program on social interchange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Koreans” and “Program on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traditional Korean cul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posed various Korean cultural and educational programs. This paper discusses a variety of concrete program development features to ensure adaptability continues, reflect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demand of foreign students who are the learners.

목차

1. 서론
2. 한국문화적응척도 개발의 현황
3.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
4. 한국문화적응교육에 대한 학습자 경험 및 요구
5. 결론 : 문화교육프로그램의 설계 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은숙(Eunsook Choi). (2017).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 및 학습자 요구 분석. 한국언어문화학, 14 (1), 223-251

MLA

최은숙(Eunsook Choi).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 및 학습자 요구 분석." 한국언어문화학, 14.1(2017): 223-2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