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위논문 내용 구조 분석 연구 - ‘선행연구 검토’ 부분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tent Structure of Dissertations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 A Focused on the ‘Literature Review’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전미화(Meihua Quan) 황설운(Xueyun Hu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1호, 197~22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국인 대학원생이 작성한 학위논문에서 선행연구 검토 부분의 내용 구조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위논문 20편에서 선행연구 검토의 내용 구조를 살피고 검토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선행연구에 대한 요약은 빠짐없이 기술하였으나 선행연구 검토 부분을 시작하거나 마무리 짓는 것을 어려워하고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를 적절하게 요약 및 평가하지 못하고 선행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여 본 연구의 필요성을 논리적으로 기술하고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실패하고 있었다. 이는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학위논문 쓰기 장르에 대한 이해와 선행연구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평가하는 능력이 부족함을 설명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행연구 검토 부분의 장르에 대한 기초적인 교육과 선행연구를 검토하는 각 단계에 필요한 연습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literature review in dissertations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 structure of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in 20 dissertations written by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analyzed issues that arose during this process.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all of the students included reviews of previous research in their dissertations, but found it difficult to write the introduction or the conclusion of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of the dissertation. Students also failed to logically prove the significance and present direction of their research because they could not properly summarize or evaluate previous studies and could not assess the significance or the critical points of said studies. This suggest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dissertation as a form of writing and an inability to critically consider and assess the preceding studi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basic education on the genre of the literature review, as well as opportunities to practice every step of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및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코퍼스를 활용한 피동사 연어 구성의 통계적 분석 -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이다’ 용례 분석을 중심으로
- 외국인 대학원생의 학위논문 내용 구조 분석 연구 - ‘선행연구 검토’ 부분을 중심으로
- 생태언어학 기반 언어문화교육의 내용 재개념화 방향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 및 학습자 요구 분석
- 교수자의 학습자 모어 사용이 제2 언어 텍스트에 미치는 영향 -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문학·언어 수업의 병행 프로그램연구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동향 분석
- 다문화교실에서 역할극을 통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 상호문화성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기관 한국어 학습멘토링 프로그램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