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교실에서 역할극을 통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 상호문화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5

영문명
Korean cultural education through role-play in the multicultural classroom: a study focused on interculturality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박성(Xing Piao)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4권 제1호, 111~14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10년 사이에 한국에 유학중인 외국인 학생 수가 3배나 증가했고 이와 동시에 국적도 다양해졌다. 그러나 외국인 학생 수의 양적 팽창과 국적의 다양화는 낙관적으로만 바라볼 수 없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학업과 생활의 부적응으로 생겨난 배타적인 반한 감정과 더불어 중도 포기 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것은 언어적 장벽보다는 문화적 장벽에서 오는 현상으로 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문화에 대한 거부감으로 인해 타문화를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심적 거부에서 비롯된 것이다. 외국인 학습자들의 이러한 사회문화에 대한 부적응에는 한국인의 배타적 태도도 함께 작용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강의실에서 외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학습자들이 역할극을 통해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문화충돌을 강의실 안에 갖고 와서, 극화 과정을 통해 타문화를 상호 인지하고, 토의과정을 통해 타문화를 이해하고, 역할 전환을 통해 타문화에 대한 태도의 전환을 도모해 보고자 하였다. 이로서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낯선 문화에 대해 알아가는 기회를 제공하고, 한국의 문화와 한국인과의 소통 방식의 바탕이 되는 지식과 정보 및 정서적 이해를 할 수 있는 문화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과정을 통해 한국인 학습자에게도 낯선 문화를 통해 자문화를 다시 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다문화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갖춰야할 상호문화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Over the last decade,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has increased threefold, and the nationalities of students have been diversifying at the same time. However, we cannot hold an optimistic view of the increase in foreign students and nationality diversification. Foreign learners increasingly fall by the wayside due to anti-Korean sentiment, which comes from maladjustment between study and living. This phenomenon results from a cultural barrier, not a language barrier. It proceeds from emotional rejection, a failure to accept other cultures due to culture clash. Also, the exclusive attitude of Koreans works together to create maladjustment of foreign learners in society.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examines real life cultural clashes through role play between a foreign learner and a Korean learner in a multicultural classroom. This study suggests attitudes toward other cultures can be improved by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other cultures through a dramatized process of discussion and role play. In addition, foreign learners have opportunities to learn about unfamiliar cultures and improve cultural abilities to understand underlying knowledge, information, and emotion in Korean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Korean. Moreover, by providing Korean learners with a chance to look again at their own culture through the eyes of another, this study improves intercultural competence, which prepares them to become members of a multicultural socie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학습자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인식
4. 수업 중 나타난 상호문화적 양상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Xing Piao). (2017).다문화교실에서 역할극을 통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 상호문화성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4 (1), 111-142

MLA

박성(Xing Piao). "다문화교실에서 역할극을 통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 - 상호문화성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4.1(2017): 111-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