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오류 분석 - 구성원소 이론을 바탕으로
이용수 5
- 영문명
- An Error Analysis of Korean Monophthong by Mongolian Learners : Based on Element Theory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노채환(Chaehwan Roh)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3호, 113~13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서 발생하는 오류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구성원소의 이론적 바탕을 토대로 모음의 내적 구조의 관점에서 오류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몽골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단모음의 입력이 주어지면 몽골인 학습자는 몽골어 모음 체계에 존재하는 모음의 내적 구조를 바탕으로 목표어인 한국어 단모음을 재해석하고 조정한다. 그리고 발화를 통해 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긍정적, 부정적 전이가 발생한다. 양 언어에서 /i, e, a, ə/의 내적 구조의 유사성은 몽골인 학습자가 이들 모음에서 긍정적 전이를 일으키는 것을 설명해준다. 반면 몽골인 학습자들의 발화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모음 /ɨ/를 [i]로 대체하고, /o/를 [u] 또는 [ɔ]로 대체하고 또 /u/를 [o]로 대체하는 경우는 한국어의 단모음에 대해 몽골어 단모음의 내적 구조를 적용시켜 부정적 전이가 일어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rrors occurring during the acquisition of Korean monophthongs by Mongolian learners in terms of their internal vowels representations withi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Element Theory. When Korean monophthong input is given, Mongolian learners reanalyze and adjust it based on their internal representation of the Mongolian vowel system, as reflected in their output. Positive and negative transitions appear in this process. The commonality of the internal structures of /i, e, a, ə/ explains the positive transfer of these vowels by Mongolian speakers of Korean while substitution errors of [i] for /ɨ/, [u] or [ɔ] for /o/, and [o] for /u/. indicating negative transfer found in Mongolian learners’ pronunciation occur due to adaptation internal representations of Mongolian vowels to Korean. (Cyber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배경
3. 몽골인 학습자의 단모음 오류 분석
4.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답시고’의 의미와 교육 내용 연구 - 세종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하여
-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오류 분석 - 구성원소 이론을 바탕으로
- 한국어 교육에서 역사 문화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 월(粤)방언권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습득 연구 - 확인 의문문 중심으로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감상문 쓰기를 통한 한국 정서 한(恨)에 대한 이해 교육
- 중국 초급 한국어 교재의 발음 영역 구성 방안 연구 - 비음화를 중심으로
-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의 부부간 담화 속 성차별적 요소 분석 -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를 중심으로
- 색채어의 상징의미 대조 연구 - 한국어와 미얀마어 기본 색채어를 중심으로
-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이 실시간 온라인 한국학 강좌 수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본 공공번역의 한국어 오류분석 - 일본 정부기관의 한국어 표준 번역안(案)을 중심으로
- 불가리아 소피아대학교 한국어 교사의 교육 경험 연구 - 불가리아 모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