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초급 한국어 교재의 발음 영역 구성 방안 연구 - 비음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the Plan for Creating Pronunciation Sections of Korean Teaching Material for Chinese Beginning Learners : Focusing on Nasaliz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설(Xue Jin) 김중섭(Jungsup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3호, 49~83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어의 음운변동 현상 중에 비음화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의 차이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가 특히 학습하기 어려워하는 음운현상이다. 그 원인은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첫째, 한국어는 음절과 음절의 경계에서 여러 음운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음운변동에 이해 및 인식이 부족한 중국인 학습자는 자음이 연속으로 나오는 경우에는 각각의 환경에 맞게 규칙을 적용하여 발음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둘째, 한국어 교육에서 음운변동에 대한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현재 중국 내의 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습자들은 일반적으로 말하기·듣기·읽기·쓰기 기능을 통합한 교재를 통해 한국어 어학과정을 이수하며 대부분의 발음교육은 통합 교재의 입문 단계에서만 제시되고 있다. 음운변동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발음 규칙을 익히기 위한 유의미한 연습 기회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교재 내 비음화 부분 개선의 필요성을 느껴 통합교재의 비음화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첫째, 제시 내용 및 순서에서 난이도가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임에도 발음 규칙에 대한 설명이 불충분하다. 셋째, 규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단어와 연습에 사용된 단어가 난이도가 높아 설명의 유용성이 떨어진다. 넷째, 학습 유형 단일화와 학습량이 극히 부족하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급 중국인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발음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교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중국인 학습자들이 대면하는 발음의 난제들을 해결해주는 발음 교육 시리즈 연구의 한 부분으로 활용되기를 소망해 보는 바이다.
영문 초록
A Study on the Plan for Creating Pronunciation Sections of Korean Teaching Material for Chinese Beginning Learners: Focusing on Nasalization, Of all the phonological changes of the Korean language, nasalization is an area for which Chinese learners find it particularly challenging, due to the difference in phonology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 cause for this can be summarized in two ways: First, because Korean has several phonological phenomena at the boundary between syllables, Chinese learners who lack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phonological changes have difficulty in pronunciation when applying the rules, according to respective environments, when consonants are consecutively presented. Second, there is insufficient education of the phonological process in the Korean language. Currently, those studying Korean at universities in China generally take Korean language courses through teaching materials that integrate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nd most pronunciation training is only presented at the beginning of integrated teaching courses. For this reason, there is minimal opportunity for meaningful practice to adequately learn the pronunciation rules for phonological change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nasalization of the integrated teaching material in detail, given the need for improvement of the nasalization sections of teaching material for beginning learn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difficulty is not considered in the content and order. Second, the explanation for pronunciation rules is insufficient even though it is a teaching material for beginners. Third, the words used to describe the rules and those used in practice are difficult so that its usefulness is quite low. Fourth, the unification of learning types and the amount of learning are extremely insufficien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is study presented ways to improve teaching materials for effective pronunciation training for Chinese beginning learners. Additionally,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part of the study of a pronunciation education series that can solve the pronunciation difficulties that Chinese learners encounter.
목차
1. 서론
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비음화 오류 양상
3. 중국 내 한국어 교재의 발음 영역 구성 내용분석
4. 비음화 발음 능력 향상을 위한 교재 개선 방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답시고’의 의미와 교육 내용 연구 - 세종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하여
-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오류 분석 - 구성원소 이론을 바탕으로
- 한국어 교육에서 역사 문화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 월(粤)방언권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습득 연구 - 확인 의문문 중심으로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감상문 쓰기를 통한 한국 정서 한(恨)에 대한 이해 교육
- 중국 초급 한국어 교재의 발음 영역 구성 방안 연구 - 비음화를 중심으로
-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의 부부간 담화 속 성차별적 요소 분석 -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를 중심으로
- 색채어의 상징의미 대조 연구 - 한국어와 미얀마어 기본 색채어를 중심으로
-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이 실시간 온라인 한국학 강좌 수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본 공공번역의 한국어 오류분석 - 일본 정부기관의 한국어 표준 번역안(案)을 중심으로
- 불가리아 소피아대학교 한국어 교사의 교육 경험 연구 - 불가리아 모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