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답시고’의 의미와 교육 내용 연구 - 세종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하여
이용수 3
- 영문명
- Corpus Analysis of the Meaning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he Connective Ending “-dapsigo” in Korean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안정호(Jungho Ah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3호, 135~1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결어미 ‘-답시고’의 한국어 교수·학습 내용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한국어 사전과 한국어 교재 등에 연결어미 ‘-답시고’의 의미가 대부분 ‘까닭이나 근거’로 되어 있거나 불명확하게 기술되어 있었다. 그래서 국어학에서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답시고’의 대표 의미를 ‘주어 행동의 의도나 목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보고 국립국어원의 세종 말뭉치 자료를 분석하였다. 말뭉치 자료 분석 결과에서도 거의 모든 예문들이 ‘주어 행동의 의도나 목적’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리고 ‘-답시고’의 후행절에 하나의 내용항이 더해져 행동의 결과까지 기술한 예문들도 많았다. 또 체언과 결합하는 ‘-랍시고’ 역시 ‘주어 행동의 의도나 목적’을 나타내는 문장이 많았는데 ‘이유나 근거’를 나타내는 경우 사람이나 단체의 자격을 나타내는 명사와 결합한 문장이 많았다. 따라서 한국어교육에서도 ‘-답시고’의 기본 의미를 ‘주어 행동의 의도나 목적’으로 한정하고 기본 문장과 확장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또 ‘-랍시고’의 경우는 사람이나 단체의 자격을 나타내는 명사와 결합하여 ‘이유나 근거’를 나타내는 문장을 구성하는 방법을 교육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ay the groundwork for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relative to the connective ending “-dapsigo.” Most of the definitions of ‘-dapsigo’ in existing Korean dictionaries and textbooks are either stated as “reason or evidence,” or are indefinite.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in Korean linguistics, we analyzed the corpus of the National Korean Language Institute under the assumption that it is appropriate to define the connective ending -dapsigo as meaning “the intention or purpose of the subject’s action.” In the corpus analysis, almost all sentences with -dapsigo were used to refer to “the intention or purpose of the subject’s action.” There were also numerous example sentences describing the result of the action in the clause following “-dapsigo.” In addition, many sentences with the noun-combining connective ending “-rabsigo” were found to describe “the intention or purpose of the subject’s action” in the analysis. Only when -rapsigo was paired with a person’s or group’s qualifications was it used to mean “reason or evidence.” Therefor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basic meaning of -dapsigo should be limited to “the intention or purpose of the subject’s action,” and instructions should be given on ways to construct basic and extended sentences using -dapsigo. Additionally, in the case of -rapsigo, the lessons should focus on ways to construct sentences that express “reason or evidence” in conjunction with nouns that describe the qualifications of a person or group.
목차
1. 서론
2. ‘-답시고’에 관한 선행 연구
3. 말뭉치 자료를 활용한 ‘-답시고’의 의미 분석
4. 한국어교육 내용으로서의 의미 기술 및 분류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답시고’의 의미와 교육 내용 연구 - 세종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하여
-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오류 분석 - 구성원소 이론을 바탕으로
- 한국어 교육에서 역사 문화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 월(粤)방언권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습득 연구 - 확인 의문문 중심으로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감상문 쓰기를 통한 한국 정서 한(恨)에 대한 이해 교육
- 중국 초급 한국어 교재의 발음 영역 구성 방안 연구 - 비음화를 중심으로
-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의 부부간 담화 속 성차별적 요소 분석 -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를 중심으로
- 색채어의 상징의미 대조 연구 - 한국어와 미얀마어 기본 색채어를 중심으로
-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이 실시간 온라인 한국학 강좌 수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본 공공번역의 한국어 오류분석 - 일본 정부기관의 한국어 표준 번역안(案)을 중심으로
- 불가리아 소피아대학교 한국어 교사의 교육 경험 연구 - 불가리아 모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