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공공번역의 한국어 오류분석 - 일본 정부기관의 한국어 표준 번역안(案)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Korean Error analysis of Japanese Public service translation : Focused on Korean translation standards by Japanese Government ministrie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임형재(Hyungjae Lim) 후지모토 타쿠미(Fujimoto Takumi)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3호, 211~24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세기를 대표하는 통번역이 국제회의 통번역이었다면, 21세기는 지역사회 통번역과 공공번역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번역에 대한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하고 일본의 공공번역에서 제시된 한국어 번역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다문화 사회에 접어든 한국사회에서의 공공번역에도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첫 번째로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공번역 표준안을 검토하여 이들이 어떤 목적으로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일본에서는 공공번역이 외국인 이주민 및 관광객을 위한 정보 전달 차원 중에서도 재난상황에서의 정보 전달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 등이 일본에서의 한국어 공공번역의 특징이었다. 그리고 두 번째로 일본 정부기관이 제공하고 있는 한국어 번역 표준안을 분석하였다. 전체 자료는 4가지로 일본 관광청, 기상청, 내각부, 환경청 등 정부기관에서 제시된 1,313 항목의 한국어 번역 표준안을 검토하여 오류를 포함하는 501 항목에서 총 677개의 오류를 찾아냈다. 오류는 어휘 형태 오류, 어휘 의미 오류, 문장구성 오류, 화용적 등가 오류, 통일성 및 표준화 관련 오류 등으로 유형화하고, 이들을 번역학적으로 검토하여 수정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검토 및 분석을 통해 이주민 및 관광객을 위한 세심한 번역정책, 한국어 공공번역의 규범화, 번역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 언어정책의 범위 확대 필요성 등을 결론으로 정리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20th century, conferenc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were used as models.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ce of community interpretation and public translation has been growing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What are the translation standards for public translation?” and “How does the Korean language appear in translation, suggested by the public translation in Japan?” First, we reviewed the public translation standards used in Japan, and examined what they are used for and the types of situations they are used in. Also we came up with some suggestions for public translation policies in Korea. In Japan, one of the main goals of public translation is to provide information for foreign residents and tourists, especial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Secondly, I re-examined 1,313 Korean translation standards from 4 guidelines by the Japanese government ministries, and found 677 errors on 501 items. Then we categorized them into 6 error types: type of vocabulary used, word definitions, sentence composition, pragmatic equivalence, unification and standardization errors. In addition, we analyzed them based on the view of translation studies, and prepared amendments. Through these reviews and analysis, we have concluded that there is a need for careful development of translation policies that consider immigrants and tourists, standardize Korean public translation, and expand the scope of domestic language policy to the whole world.
목차
1. 서론
2. 오류분석의 연구방법
3. 번역안 오류의 유형적 분류
4. 한국어 번역안의 오류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결어미 ‘-답시고’의 의미와 교육 내용 연구 - 세종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하여
- 몽골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오류 분석 - 구성원소 이론을 바탕으로
- 한국어 교육에서 역사 문화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 월(粤)방언권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습득 연구 - 확인 의문문 중심으로
-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감상문 쓰기를 통한 한국 정서 한(恨)에 대한 이해 교육
- 중국 초급 한국어 교재의 발음 영역 구성 방안 연구 - 비음화를 중심으로
- 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의 부부간 담화 속 성차별적 요소 분석 -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를 중심으로
- 색채어의 상징의미 대조 연구 - 한국어와 미얀마어 기본 색채어를 중심으로
- 매체 효능감과 실재감이 실시간 온라인 한국학 강좌 수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일본 공공번역의 한국어 오류분석 - 일본 정부기관의 한국어 표준 번역안(案)을 중심으로
- 불가리아 소피아대학교 한국어 교사의 교육 경험 연구 - 불가리아 모국어 교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