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색채어의 상징의미 대조 연구 - 한국어와 미얀마어 기본 색채어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the Symbolic Meanings of Color Terms : Focusing on the Basic Color Lexicons of the Korean and Burmese Language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이쉐신윈(Ei Shwesinwin)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3호, 161~18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색채어가 가진 기본 의미 및 상징의미를 대조 분석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향상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의사소통 성공을 위해서는 어휘는 필수로 알아야 되며, 확장 의미, 사회문화적인 상징의미까지 습득해야 한다. 어휘를 대조할 때 의미론적인 측면으로 한 사람의 정서, 문화에 따라 색채도 다르게 나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검토해 보았다. 먼저 어휘의 정확성, 확장 의미, 상징한 바를 알 수 있기 위해서는 문헌 자료 수업을 한 후 각 언어의 사전 검토 작업을 이행하였다. 사람들의 환경 및 인간의 특성들 때문에 유사점 및 차이점이 나왔다. 그 결과 기본 색채어의 특성 때문에 사전적 의미는 차이가 없다는 것으로 나오는 색채어는 ‘검다, 희다’였으며, ‘붉다’는 정치적인 뜻이나 건강의 상징의미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노랗’다는 놀랍다, 겁에 질린다로 주로 상징하였고 미얀마어는 위험, 고귀한 상징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의미론적인 대조 분석을 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학업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omparison of Korean and Burmese language through color lexicons based on symbolic meaning. Moreover, the linguist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Burmese language are also examined in this study. The word order of Korean and Burmese (subject+ object+ predicate) is similar. In contra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xicon, the Myanmar lexicon is influenced by the native language or Pali whose lexicon mostly used in written language but not in daily life. Consequently, based on the color terms and lexicons of Korean and Myanmar examined in this study their basic meaning, symbolic meaning and form are compared. The lexicons of different languages are considered to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so many expression also have their own specific symbols. In other words, although the created symbolic meanings of a color also have similarity: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are different too. This study compared the basic color lexicons of the two languag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the basic meanings of color terms from the two languages are not so different, but the can have different symbolic meanings. Youth is symbolized by blue in Korean language, but in Myanmar language, it is symbolized by the color yellow. The division and meaning of the color terms are explained separately in details in this papers.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s an analysis and supplementation of other learners’ study results, while its practical application is possible in Korean education. Through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 in the two languages, in order to address the present limitation of the expression of color terms , this study presents a guidance plan for basic color term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awareness regarding these ter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learners achieve fluent communication and can also be used as an easier and better education resource. The alignment of the color terms shows the basic meaning, morphologic structure, cognitive linguistic idiomatic expression and lexic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연구사 고찰 및 연구방법
3.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색채어 개관
4. 색채어 대조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쉐신윈(Ei Shwesinwin). (2018).색채어의 상징의미 대조 연구 - 한국어와 미얀마어 기본 색채어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5 (3), 161-186

MLA

이쉐신윈(Ei Shwesinwin). "색채어의 상징의미 대조 연구 - 한국어와 미얀마어 기본 색채어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5.3(2018): 161-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