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감상문 쓰기를 통한 한국 정서 한(恨)에 대한 이해 교육

이용수  4

영문명
A Pedagogical Study of Understanding of Korean ‘Han’ through Writing Book Reports for Foreign Learners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나채근(Chaekun Ra)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3호, 85~11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는 한이라는 정서를 일상생활이나 예술작품에서 흔히 접하고 있지만 실제로 한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갖고 있지 못하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한의 의미는 ‘몹시 원망스럽고 안타깝고 슬퍼 응어리진 마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적 한은 다른 나라의 한과 구별되는 특이성을 지니고 있다. 즉 한국적 한은 단순한 분노나 원한에 머무르지 않고 용서와 체념의 승화를 통한 역동적이고 긍정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한을 소설 감상문 쓰기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에게 이해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적 한의 특이성을 외국인 학습자가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나 한국적 한의 정서에 대한 관심이 국내·외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에게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논문은 모호하게 여겨지는 한국적 한의 의미를 화이트헤드의 창조성과 들뢰즈의 다양체성의 특성으로 재조명하고 한국적 한이 한국 현대소설에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또한 외국인 학습자들로 하여금 한을 구현하고 있는 한국 단편소설을 읽고 감상문을 작성하게 함으로써 한의 요소를 찾고 토론하도록 하였다. 그들은 감상문을 쓰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오류를 경험하기도 했지만 한에 대한 올바른 이해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감상문을 쓰고 토론하고 피드백을 받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자신이 처음에 가졌던 생각과 느낌을 재확인하거나 수정해 감으로써 첫째, 막연하게 이해되었던 한국적 정서인 한의 구체적인 개념을 그릴 수 있게 되었다. 둘째, 학생 각자가 형성한 한국적 한의 개념과 자국의 정서를 비교,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한에 대한 개념을 다른 관점에서 고찰해 봄으로써 한국적 한의 개념을 창조적이고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학습자들은 또한 한국적 한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형성함으로써, 한국뿐만 아니라 자국 문화를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토대도 마련하게 되었다. 이는 학습자들이 국가의 정서문화 간 비교를 통해 새롭고 창조적인 문화 학습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We do not know the concrete meaning of the Korean concept of “Han,” even though we usually experience Han as it appears in arts and everyday life. It is said that the general meaning of Han is “the unpleasant feeling of resentment and sadness.” However, the Korean meaning of Han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countries. The Korean Han features robust and positive attributes such as forgiveness, resignation, and sublimation, as well as the simple anger and resentment. This study aims to provide high-level Korean learner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Korean emotion of Han (恨), through writing their own book reports after reading a Korean short novel. Korean learners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is specific Korean emotion of Han. However, in recent times, interest in Korean Han has been growing among Korean learners in both Korea and other countries.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Korean Han by verifying that it shares the characteristics of Whitehead’s creativity and Deleuze’s multiplicity, and examines how Korean Han was portrayed in 「선학동 나그네」. In this study, Korean learners read 「선학동 나그네」, which is incarnating Korean Han, write book reports, and discuss their ideas and opinions about Han. Through this process, and the feedback from the teacher and fellow students, they are able to reconfirm or modify their previous perceptions of Han. In other words, they can demonstrate thei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oncept of Han as follows; first, they can articulate the concept of Han, which to them was initially too abstract. Second, they can examine and compare the Korean meaning of Han with that of their respective countries. Third, they can reflect critically and creatively on the Korean Han by considering i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Moreover, they can reconsider their own country’s Han by grasping the Korean concept of Han. This provides a new and creative approach to learning about culture, by comparing Korean Han with that of other countries.

목차

1. 서론
2. 한국의 정서문화: 한
3. 한국어 학습자의 한 이해를 위한 글쓰기 과정
4. 『선학동 나그네』 감상문 쓰기를 통한 한의 이해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채근(Chaekun Ra). (2018).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감상문 쓰기를 통한 한국 정서 한(恨)에 대한 이해 교육. 한국언어문화학, 15 (3), 85-112

MLA

나채근(Chaekun Ra).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감상문 쓰기를 통한 한국 정서 한(恨)에 대한 이해 교육." 한국언어문화학, 15.3(2018): 85-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