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더라’의 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A teaching method of ‘–deora’ for Vietnamese–native learner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응웬티꾸잉안(Nguyen Thi Quynh Anh) 김경표(Kyoungpy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2호, 255~27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증거양태 범주에서 한국어 종결형 어미 ‘–더라’와 베트남어 지각동사 ‘thấy(보다)’를 대조하며 그 대조 결과를 통해서 베 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종결형 어미 ‘–더라’의 교육 방안을 제 시한 것이다. 2장에서는 ‘–더라’와 베트남어 지각동사 ‘thấy’는 감각기 관을 통해 지각하는 것을 표현하는 의미와 화자가 목격자로서 다른 사 람이 행한 행위를 직접 관찰한 내용을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공통점 이 있음을 확인했다. 한편, 화자의 지각행위를 표현하는 ‘thấy’가 사용 된 문장에서는 ‘thấy’가 조동사로 주동사 앞에 위치하는데 화자가 목 격자로서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했던 의미를 전달하는 문장에서는 ‘tôi thấy’어절이 명제 내용 앞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더라’와 차이가 있다. 아울러 베트남어 지각동사 ‘thấy’는 어떤 사태에 대해 자기의 사 고에 의한 판단을 내린 것을 나타내는 어휘적 기능을 포함한 어휘 요 소임으로 ‘–었더라’와 대응할 수 없어 베트남 학습자가 ‘–었더라’와 ‘– 더라’의 차이를 구별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서 2장 에서 살펴본 대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들이 ‘–더라’의 의미 기능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향상을 위 한 6단계의 수업 구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teaching method of the Korean final ending ‘–deora’ for Vietnamese–native learners of Korean. The study focuses on the evidential meaning of ‘–deora’ and compares the meaning of ‘–deora’ with the Vietnamese cognitive perception of ‘thay (to see)’. In general, ‘–deora’_expresses that the speakers observed something in the past end are reporting the observation to others with their perception. This perception can be established by sensory organs or past sensory. Moreover, I confirmed that the modality meaning of ‘– deora’ can be matched with ‘thay(to see)’ and explain the grammatical constraints of ‘–deora’. Base on the results of contrastive analysis, I suggest using ‘thay’ to teach ‘–deora’ to Vietnamese–native learners of Korean with a focus on evidential meaning, and present six steps for teaching: ‘warm up, find out, presentation, practice, production, wrap–up, task.’
목차
1. 서론
2. ‘–더라’와 베트남어 지각동사 ‘thấy’의 대조
3.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더라’의 교육방안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안으로서의 설화 ‘다시쓰기'
- 한국어-베트남어 단모음 대조를 통한 난이도 위계 설정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더라’의 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이 편찬한 초기 한국어 교재의 한자어 교수 자료 연구
-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한국어 쓰기 교육 모형 개발 연구
- 한국어 교재의 구성 유형과 형성 과정 연구
-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설화 교육 연구 – 국내 대학 교양 학부의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접촉 양상(LCP)이 한국어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영화를 활용한 한국 가치문화교육 연구 - 상호문화능력을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문화 인식에 대한 연구 - 중국, 몽골 학습자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스테레오타입과 한국 문화교육 - 학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인에 대한 의식을 중심으로
- 한국어 공공언어를 위한 챗봇 설계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