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교재의 구성 유형과 형성 과정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the Constitution categories and Formation process of the KFL textbooks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강남욱(Namwook Kang)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2호, 1~3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 추출할 수 있는 요소들을 외국어 교재에 대한 일반론으로부터 살펴보면서 추출한 다음, 이어 한국어 교재의 유 형을 다양한 관점으로부터 분류해 보았다. 한국어 교재의 구성 요소로 는 다섯 개의 범주에서 37개의 요소들을 추출하였고, 한국어 교재의 유형론으로서 종합적 관점, 교수-학습의 조건, 교육과정과 교수요목, 역사적 전개에 따라 기준을 세우고 기존의 논의들을 정리하고 비판적 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재의 형성 과 정을 교재 유형의 전개사라는 측면에서 중세기· 근대 초기· 근현대기 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재의 유형으로서 동아시아 외국어 교육의 전통으로 이어져 온 주제별 분류 어휘집 유형으로부터 상황별 담화 유형, 원전 텍스트 유형 등 일곱 가지의 교재의 유형을 도 출해 보았으며, 이러한 유형이 언어관, 언어교수를 위한 접근법 등으 로 역동적으로 교차하는 가운데 쇠퇴하거나 상승하는 등의 흐름을 가 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logical method for deducing constitutional components of KFL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textbooks, as well as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from previous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deduces five categories from 37 KFL textbook components, subsequently suggesting 4 types of KFL textbook categories. Furthermore, this study discusses the formation process of KFL textbook categories from the medieval to the modern era by dividing it into three periods. More implications can be raised by reconstructing the diachronic flows of KFL textbooks.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교재의 구성 요소와 유형 분류
3. 한국어 교재 유형의 형성과 전개
4.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남욱(Namwook Kang). (2018).한국어 교재의 구성 유형과 형성 과정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5 (2), 1-36

MLA

강남욱(Namwook Kang). "한국어 교재의 구성 유형과 형성 과정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15.2(2018): 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