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공공언어를 위한 챗봇 설계 방안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the Chatbot Design for the Korean Public Language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이지용(jiyong Lee)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2호, 333~36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어 공공언어를 잘못 사용하여 원활하게 소통이 되지 못하면 실제 경제적인 손실을 초래한다. 잘못된 언어의 사용이 단지 언어의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이고 직접적인 정책의 문제로 이어져 언어 와 사회의 관계를 보여 주기 때문이다. 비단 경제적인 원인뿐만 아니 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공공언어로 인한 소통의 문제는 중요하다. 이는 우리 사회가 공공성의 수용 대상이 다양한 사 회로, 즉 다문화 사회로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공공 언어는 사회 소외 계층을 고려하여 가독성과 수용성을 확장시켜야 한 다. 따라서 공공 정책과 국민과의 효과적인 소통을 위해서는 그 매개 언어인 공공언어, 특히 공공 보도 자료의 정확성과 소통성은 매우 중 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국립국어원에서는 공공언어의 진단을 매 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의 목적은 현실 언어의 문제 해결을 통 해 소통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매년 진행되고 있는 이 러한 정책이 과연 어느 정도의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실제 진단 결과 의 피드백이 어느 정도 수용되고 있는지를 명시적으로 파악하기는 어 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정책의 실효성에 문제가 제기될 수밖에 없 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원인과 양상을 구 체적으로 파악해 보고 공공언어 진단 사업의 연계성과 효율성을 위한 자동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그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영문 초록

Korea has incurred economic losses due to the incorrect use of the Korean language; the use of wrong language has resulted in problems related to both language as well as practical and direct policies,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society. Thus, the problem of communication through public language is important not only because of economic reasons but also because they can emerge as a social problem, since our society is accelerating toward diversity with a diverse target of accepting the publicity, namely a multicultural society. In other words, public language should expand readability and acceptability as well as account for the underprivileged. Therefor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public policy and the people, the accuracy and communicability of the language of the public press, in particular, is very important. The National Language Institute annually conducts a diagnosis of the public language. The purpose of the policies is to maximize communicability through real language troubleshoot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plicitly understand how much progress the policies have made annually and how much feedback from the actual diagnosis results is accepted.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ies must be improved. In this study, the causes and aspects of these problems were analyzed to presen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systems for linkage and efficiency of public language diagnostic projects, and the methodology was sought..(Chung-Ang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공공언어 진단 사업의 문제점
3. 챗봇을 활용한 공공언어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
4. 챗봇을 활용한 공공언어 관리 시스템 설계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용(jiyong Lee). (2018).한국어 공공언어를 위한 챗봇 설계 방안. 한국언어문화학, 15 (2), 333-367

MLA

이지용(jiyong Lee). "한국어 공공언어를 위한 챗봇 설계 방안." 한국언어문화학, 15.2(2018): 333-3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