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문화 인식에 대한 연구 - 중국, 몽골 학습자 중심으로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Culture as Perceived by International Students : With a Special Focus on Chinese and Mongolian Stude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양지선(jisun 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2호, 229~25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문 목적으로 한국에 온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자 중심 관찰, 인터뷰를 활용하여 한국인의 언어, 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 화 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 시선의 변화 과정 을 관찰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한국 문화(목표 문화)를 관찰하며 그 문 화에서 일어나는 일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학습자 스스로 깊이가 있는 한국 문화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S대학 학부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문 화 관찰, 언어 행동을 관찰하고 한국인에게 직접 궁금한 문화 행동 및 언어 표현에 대해 인터뷰를 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16주 동안 상 황에 따른 한국인의 행동 및 언어 표현을 관찰하면서 느낀 점과 학습 자에게 어떠한 깨달음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심층적인 토론을 거쳐 한 국 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타문화에 대해 간접적으로 경험하거나 주변에서 경험한 것을 정형화된 모습으로 오해하여 목표 문화에 대한 일반적인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한국에 오기 전에 기대했던 모 습과 한국에 살면서 느낀 문화적 거리감을 통해 목표 문화에 대한 인 식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목표 문화권에서 생활하면서 느낀 문화적 거리감은 학습자들에게 충 격을 넘어 동화가 아닌, 방관의 모습을 보일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학습 자들이 자신들이 무관심하게 넘어갔던 문화적 행동과 습관의 차이를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자신들이 목표 문화에 대해 지닌 인식의 변화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by which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s change abou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research, which consisted of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foreign students who came to Korea for academic purposes, was conducted. This study was conducted so that learners themselves would be able to observe and understand the phenomena of the target (Korean) culture. This process was conducted to ensure a learner–led comprehensive culture education. In order to do this,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of S univer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conducted surveys, cultural observations, language behavior observations, and interviews with Koreans. Fi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regarding their feelings and behaviors while observing behaviors and language expressions of Koreans for 16 weeks. Foreign learners can misunderstand what they have experienced indirectly or what they have experienced in their surroundings as stereotyped and can make common mistaken assumptions about the target cultur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es of learners’ changing perceptions regarding the target culture by examining the expectation of the learner before coming to Korea and the cultural distance that the learner felt while living in Korea.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llows learners to re–examine the differences in cultural behaviors and habits that they have been indifferent to and helps them to be aware of the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of the target culture. Moreover, they should recognize that the cultural distance they feel while living in the target culture may cause them to remain as spectators rather than help them to assimilate in the learning process.
목차
1. 머리말
2. 선행 연구
3. 유학생이 바라본 한국 문화에 대한 인식 조사
4. 인터뷰를 통한 문화 인식의 변화 관찰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안으로서의 설화 ‘다시쓰기'
- 한국어-베트남어 단모음 대조를 통한 난이도 위계 설정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더라’의 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이 편찬한 초기 한국어 교재의 한자어 교수 자료 연구
-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한국어 쓰기 교육 모형 개발 연구
- 한국어 교재의 구성 유형과 형성 과정 연구
-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설화 교육 연구 – 국내 대학 교양 학부의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접촉 양상(LCP)이 한국어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영화를 활용한 한국 가치문화교육 연구 - 상호문화능력을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문화 인식에 대한 연구 - 중국, 몽골 학습자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스테레오타입과 한국 문화교육 - 학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인에 대한 의식을 중심으로
- 한국어 공공언어를 위한 챗봇 설계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완벽주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참여 유형
- 교육학 연구를 위한 문화기술지 연구방법 활용 탐색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기독교 유아교육」 관련 연구동향(2013-2024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