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설화 교육 연구 – 국내 대학 교양 학부의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이용수 8
- 영문명
- A Study of Education in Folktale to Improve the Cultural Literacy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 With a Focus on Chinese Students in Schools of Liberal Arts at South Korean Universitie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혜진(Hyej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2호, 155~18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 대학 교양 학부에 재학 중인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화 교육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의 양상을 살펴본 후, 문화적 문식력을 향상할 수 있는 설화 교수· 학습 방법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적 문식력을 목표 문화의 사회 구성원들이 보편적으로 인정하고 공유한 지식과 가치를 이해하 고 해석하는 능력으로 정의할 때 과거에서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전승 되면서 목표 문화의 관념, 가치, 제도, 행위, 산물을 반영하고 있는 설 화는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을 향상하는 데 유용한 교육 제제 이다. 한편,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화적 문식력의 양상은 학습자들이 수행한 감상문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유형화하였다.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 들이 설화 교수· 학습 과정에서 보인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자는 자문화와 목표 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을 기반으로 목표 문화를 해 석하였다. 둘째, 학습자는 목표 문화와 자문화(home culture) 간의 상 호 텍스트적 지식을 활용하여 문화 간 비교를 수행하였다. 셋째, 학습 자는 목표 문화에 대해 비판적·성찰적 태도를 견지하면서 가치 태도 를 형성하였다.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설화 교수·학습 방법은 지식과 가치의 이 해, 지식과 가치의 비교, 지식과 가치의 평가 등 세 단계로 설계하였으 며, 강독과 질의응답, 상호 텍스트성을 활용한 문화 간 비교, 토론과 쓰 기 활동 등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으로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설화 교육에 반영된 문화 적 문식력의 양상을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설화 교수· 학습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데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lay in: 1) conducting education in Korean folktale on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enrolled in schools of liberal arts at South Korean universities and examining the subsequent changes in the learners’ literacy in Korean culture; and 2) devising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lktale that can improve learners’ cultural literacy. If and when cultural literacy is defined as an ability to understand and to interpret the knowledge and values universally acknowledged and shared by members of the target culture, folktale, which are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reflect the ideas, values, institutions, actions, and products of the target culture, are useful educational materials for improving the cultural literac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Meanwhile, patterns in Korean language learners’ cultural literacy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into diverse types by analyzing reports written by the learners in response. The patterns exhibited by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processes of teaching and learning folktale are as follows. First, the learners interpreted the target culture based on their background knowledge of both the home culture and the target culture. Second, the learners conducted cross–cultural comparisons by making use of their intertextual knowledge of both the target culture and the home culture. Third, the learners formed value attitudes while maintaining critical and introspective attitudes toward the target culture.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lktale to improve cultural literacy were designed in three stages: understanding knowledge and values; comparing knowledge and values; and evaluating knowledge and values. They were then presented concretely as: lectures and question and answer sessions; cross–cultural comparisons making use of intertextuality; and learner–centered learning activities such as discussions and composition. The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examining patterns of cultural literacy reflected in education in folktale conducted on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based on them, concretely presenting methods for teaching and learning folktale.
목차
1. 서론
2. 문화적 문식력과 설화 교육의 관계
3. 설화 교육을 통해 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적 문식력의 양상
4.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설화 교수·학습 방법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안으로서의 설화 ‘다시쓰기'
- 한국어-베트남어 단모음 대조를 통한 난이도 위계 설정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더라’의 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이 편찬한 초기 한국어 교재의 한자어 교수 자료 연구
-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한국어 쓰기 교육 모형 개발 연구
- 한국어 교재의 구성 유형과 형성 과정 연구
-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설화 교육 연구 – 국내 대학 교양 학부의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접촉 양상(LCP)이 한국어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영화를 활용한 한국 가치문화교육 연구 - 상호문화능력을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문화 인식에 대한 연구 - 중국, 몽골 학습자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스테레오타입과 한국 문화교육 - 학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인에 대한 의식을 중심으로
- 한국어 공공언어를 위한 챗봇 설계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완벽주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참여 유형
- 교육학 연구를 위한 문화기술지 연구방법 활용 탐색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국내 「기독교 유아교육」 관련 연구동향(2013-2024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