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베트남어 단모음 대조를 통한 난이도 위계 설정
이용수 4
- 영문명
- Difficulty level setting through the contrast Korean-Vietnamese single vowel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권기현(Kihyon Kwo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2호, 93~12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과 산출 실험을 통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 이 느끼는 단모음의 난이도 위계를 설정하는 데 있다. 베트남인 학습 자들은 모국어 단모음과의 대응을 통해 비교적 한국어 단모음을 쉽게 학습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러나 산출 실험 결과 학습자들 은 한국인 모국어 화자보다 단모음을 산출하는 공간이 좁으며, 후설 모음에서는 한국어와 베트남어 대응 모음이 일치하지 않는다. 베트남 어에 대응하는 한국어 대응 모음은 해당 베트남어 모음보다 높은 위치 에서 발음된다. 이러한 차이가 학습자의 후설 모음 지각 오류를 불러 일으키며, 오류가 가장 많은 모음쌍은 /ㅗ/와 /ㅜ/이다. /ㅐ/는 실험 대 상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ㅔ/를 /ㅐ/로 지각하는 학습자도 많았다. 실험 결과 베트남 학습자들을 위한 단모음 난이도 위계는 다음과 같 다. 0단계: ㅣ, ㅏ 1단계 : ㅡ, 2단계 : ㅔ / ㅐ, 3단계 : ㅜ, ㅗ, ㅓ
영문 초록
This study determined the difficulty level of simple vowels for Vietnamese students of the Korean language. The prevailing view is that Vietnamese students tend to learn simple Korean vowels by comparing them to simple Vietnamese vowels. However, this study’s results show that Vietnamese students have narrower spaces for pronouncing simple vowels than Korean speakers. Thus, corresponding simple Korean vowels are placed higher than simple Vietnamese vowels. Differences thus occurred because of back–vowel perception errors; most errors occurred between /ㅗ/ and /ㅜ/, while /ㅐ/ was excluded in this experiment. Most students apperceived /ㅔ/ to /ㅐ/. Difficulty levels were thus set to the following: Level 0: ㅣ and ㅏ; Level 1: ㅡ; level 2: ㅔ and ㅐ; Level 3: ㅜ, ㅗ, and ㅓ.
목차
1. 연구 목적과 필요성
2.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단모음 음소 대조
3. 실험 설계
4. 실험 결과
5. 단모음별 음운 대조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안으로서의 설화 ‘다시쓰기'
- 한국어-베트남어 단모음 대조를 통한 난이도 위계 설정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더라’의 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이 편찬한 초기 한국어 교재의 한자어 교수 자료 연구
-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한국어 쓰기 교육 모형 개발 연구
- 한국어 교재의 구성 유형과 형성 과정 연구
-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설화 교육 연구 – 국내 대학 교양 학부의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접촉 양상(LCP)이 한국어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영화를 활용한 한국 가치문화교육 연구 - 상호문화능력을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문화 인식에 대한 연구 - 중국, 몽골 학습자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스테레오타입과 한국 문화교육 - 학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인에 대한 의식을 중심으로
- 한국어 공공언어를 위한 챗봇 설계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교사의 유아코딩교육 인식, 수학교수효능감이 디지털놀이 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맞벌이 어머니와 아버지의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역할신념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로의 전이 시기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