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안으로서의 설화 ‘다시쓰기'
이용수 7
- 영문명
- “Re-writing” folktales as a Method for improv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구민지(Minji Koo) 김원경(Wong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5권 제2호, 63~9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유학생을 위한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안으로 한국 설화 ‘다시쓰기’의 교육적 의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학생 대상 교양 수업에서 설화 <선녀와 나무꾼>을 활용하여 ‘다시 쓰기’를 진행하여 학습자들의 스토리를 살펴보았다. 수업은 한국어 학습 수준에 따라 초급과 중· 고급으로 나뉘어 진행되 었으며 수업 중에 학습자들이 작성한 ‘다시쓰기’의 결과물 103편을 구 성 측면과 내용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초급 학습자들은 구 성 측면에서 기본적인 단순한 스토리를 만들고 내용적으로는 원전의 화소를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 고급 학습자들은 원전의 구성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스토리의 구성요소 중 일부를 변형 혹은 보완하였 다. 또한 원전의 구성과 다른 새로운 스토리를 만든 경우는 다양한 양 상을 보였다. 내용 측면에서는 매우 다양하게 화소를 변형 또는 삭제 하여 자유롭게 스토리를 풀어 나갔는데 신인교혼 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또한 지상의 가치를 지양하고 주인공이 문제를 자력으로 해결하는 스토리가 많아 학습자들의 비판적 사고력이 작용한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설화 ‘다시쓰기’를 통해 언 어적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한국어 표현 능력을 진작시키고 비판적 사 고를 통해 한국 전통 문화를 깊이 있게 재해석할 수 있었다. 이에 유학 생 대상 교양 교과목에서 한국 설화 ‘다시쓰기’가 효과적인 한국 언어 문화 교육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re- writing” Korean folktales as a way to educate foreign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abou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do this, we used the folktal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the cultural class meant for foreign students to review learners’ stories. The classes were divided into the beginner and the intermediate- advanced levels according to the level of students’ Korean language study, and 103 “rewriting” articles prepared by the learners during the clas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mposition and content. The beginner- level students tended to create simple stories that were related to the composition topic and include the motifs of the original story in their content. The intermediate-advanced learners had to modify or supplemen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story if they were to maintain the composition of the original story. Moreover, when they created a new story,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ne, it had to reveal diverse aspects of how the story was evolved.
목차
1. 들어가며
2. ‘다시쓰기’에 대한 기존 논의
3. 설화 ‘다시쓰기’ 사례 분석
4.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안으로서의 설화 ‘다시쓰기'
- 한국어-베트남어 단모음 대조를 통한 난이도 위계 설정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더라’의 교육 방안 연구
- 외국인이 편찬한 초기 한국어 교재의 한자어 교수 자료 연구
-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한국어 쓰기 교육 모형 개발 연구
- 한국어 교재의 구성 유형과 형성 과정 연구
- 문화적 문식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의 설화 교육 연구 – 국내 대학 교양 학부의 중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접촉 양상(LCP)이 한국어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영화를 활용한 한국 가치문화교육 연구 - 상호문화능력을 중심으로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문화 인식에 대한 연구 - 중국, 몽골 학습자 중심으로
- 한국어 학습자의 스테레오타입과 한국 문화교육 - 학부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인에 대한 의식을 중심으로
- 한국어 공공언어를 위한 챗봇 설계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 분석
-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운동과 에너지 영역 성취기준 분석: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중심으로
- 스마트폰 사용 목적이 학업 성취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연구: 중학생-교사 관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