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어사 영역의 문항 분석 연구
이용수 7
- 영문명
- Item Analysis of Korean Historyin the Test of Teaching Koreanas a Foreign Languag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손다정(Da-jung Son) 정경재(Kyeong Jae Ch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2호, 53~90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에 출제된 ‘한국어사 영역’ 문항을 분석해 그것이 시험 목표에 잘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사 영역에 속한 문항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제1회~제16회 기출문제에서 한국어사 문항을 모두 추출하고, 문항 내용과 유형, 난이도 및 변별도를 분석하였다. 문항 내용 분석으로 시험에서 다루는 한국어사 지식의 범위와 하위 영역별 비중을 확인하였고 문항 유형 분석으로 단순히 한국어사 지식을 알고 있는지 묻는 ‘지식 이해형’ 문항이 대부분이며 한국어교육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지식 활용형’ 문항은 거의 출제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난이도와 변별도 분석을 통해 한국어사 영역 문항이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높고 변별도가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포괄적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에서 한국어사 영역 문항이 응시자의 한국어교육 능력을 평가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시험 목적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한국어사 영역의 문항이 출제되도록 하면서 한국어교원이 한국어사 지식을 활용해 효과적인 한국어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문항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Korean History items of the TOTKA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determine whether they met the test's objectives, and, based on that, offer recommendations on improving the items on Korean history. For this purpose, the previous first sixteen tests were used to extract all the Korean history items, which were then assessed for content, item style, difficulty level, and degree of discrimination. The scope and importance of the Korean history knowledge covered in the test were confirm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through item-type analysis, it was discovered that with only a few “knowledge utilization type” questions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with Korean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items' difficulty and degree of discrimin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tems in the Korean history area had higher difficulty and a lower degree of discrimination than other areas of Korean studies. Based on this comprehensive analysi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items in the Korean history section of the current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was limited in its assessment of a candidate'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herefore, recommendations were offered on how to improve items in the Korean history section in a way that fulfills the requirements of this test while enabling Korean language teachers to effectively teach the Korean language using their knowledge of Korean history.
목차
1. 서론
2.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의 한국어사 영역
3. 한국어사 영역의 문항 분석
4. 한국어사 영역의 문항 개선을 위한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어사 영역의 문항 분석 연구
- 세종학당재단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과 제안
- 학습사전에서의 논항 교체 현상 제시 방안 연구 - ‘NP와/과'를 포함한 격틀을 중심으로
- 과테말라 공립 초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과제
- 세종학당 비대면 교육 운영 컨설팅 분석 도구 개발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아와 학습 동기에 대한 연구 - 비전, 시각적 스타일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 공공기관 재난 홍보자료 번역의 오류 분석 - 중국어 코로나19 홍보지를 중심으로
- 중국어 기쁨표현의 한국어 번역 연구 - 은유와 환유를 중심으로
- 한국어 번역 읽기 수업 과정과 실례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번역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 교육실습 강좌와 PCK 향상에 관한 유학생의 인식 조사 - FGI를 활용한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전략 비교 분석 - 한국인, 재한 중국인, 재중 중국인을 대상으로
- 한국어 교사의 교실 경영 경험에 나타난 교사 신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