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테말라 공립 초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과제
이용수 6
- 영문명
- Current State and Task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Guatemala’s Public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진경(Jinkyung Lee) 강승혜(Seung Hae Kang) 신승윤(Seungyoon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2호, 259~2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과테말라 공립 초등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과테말라 공교육 내 한국어교육의 안정적인 정착과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20년 3월 4개의 과테말라 공립 초등학교에서 처음으로 한국어를 정규 외국어 과목으로 채택하였으며 2022년 2월 기준, 총 10개의 초등학교에서 한국어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과테말라 공립 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은 지난 2년간 코로나19 상황에도 불구하고 양적인 성장을 거두었다. 그러나 앞으로 한국어가 과테말라의 공교육 내에서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교육적 내실을 기하며 질적인 성장을 함께 도모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풀어야 할 과제가 있다. 먼저, 과테말라의 한국어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가장 시급한 과제는 한국어 교사 인력의 확보이다. 전문적인 한국어 교사의 안정적인 배출을 위해서는 대학 내 학위 과정으로서의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과 한국학 전공 개설이 필수적이다. 또한 과테말라 초등학생의 연령과 수준, 문화를 고려한 맞춤형 한국어 교재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며, 한국어가 과테말라의 공식 외국어로서의 위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 한국어 교육과정을 정립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과테말라 내 한국어교육의 저변 확대를 위해 한국어 및 한국 문화 보급 확대를 위한 전담 기관의 설립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Guatemala's public elementary schools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its stable settlement and continuous development in Guatemala's public education. In March 2020, four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Guatemala adopted Korean as a regular foreign language subject for the first time. As of February 2022, ten elementary schools are offering regular Korean language courses. In Guatemalan public schools,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grown quantitatively over the past two years despite COVID-19. However, some tasks need to be solved for the Korean language to have a stable footing in Guatemala's public education, ensure internal stability, and promote qualitative growth together. First, the most urgent task is to secure Korean language teachers.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professional Korean teachers,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training course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offer a major in Korean studies as a degree program within universities. Additionally, developing customized Korean textbooks considering the age, level, and cultur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uatemala is essential.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so that the Korean language can establish its status as an official foreign language of Guatemala. Lastly, to expand the ba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Guatemala, an institution in charge of spreading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should be rapidly established.
목차
1. 서론
2. 과테말라의 언어와 외국어교육
3. 과테말라 공립 초등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
4. 과테말라 공립 학교 한국어교육의 향후 과제와 발전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어사 영역의 문항 분석 연구
- 세종학당재단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과 제안
- 학습사전에서의 논항 교체 현상 제시 방안 연구 - ‘NP와/과'를 포함한 격틀을 중심으로
- 과테말라 공립 초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과제
- 세종학당 비대면 교육 운영 컨설팅 분석 도구 개발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아와 학습 동기에 대한 연구 - 비전, 시각적 스타일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 공공기관 재난 홍보자료 번역의 오류 분석 - 중국어 코로나19 홍보지를 중심으로
- 중국어 기쁨표현의 한국어 번역 연구 - 은유와 환유를 중심으로
- 한국어 번역 읽기 수업 과정과 실례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번역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 교육실습 강좌와 PCK 향상에 관한 유학생의 인식 조사 - FGI를 활용한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전략 비교 분석 - 한국인, 재한 중국인, 재중 중국인을 대상으로
- 한국어 교사의 교실 경영 경험에 나타난 교사 신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