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종학당재단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과 제안

이용수  37

영문명
The Current Status and Proposal of the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s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장향실(Hyangsil Chang) 구민지(Minji Koo) 이진경(Jinkyoung Lee) 정다운(Dawoon Chung)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2호, 313~34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세종학당재단에서 추진해 온 한국어교육 정책 사업 전체를 분석하여 정책 전개 현황을 살피고 세종학당재단 한국어교육 정책 사업의 질적 제고를 위해 사업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앞으로 세종학당재단은 우선 다양한 영역으로의 사업 확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현재 세종학당재단 사업의 경우 대부분이 교육 영역에 치우쳐 있기에 문화 사업의 비중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는데 특히 이러한 문화 사업은 교육을 넘어 상호 문화 교류 활동으로 확장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음, 정부의 여러 부처와 교류 협력을 통해 중복성 문제를 피하고 세종학당재단만의 특성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원 양성 및 역량 강화 관련 사업의 확대도 필요하다. 세종학당재단에서는 해외에서 많은 세종학당을 운영하고 있으므로 지역에 특화된 맞춤 한국어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원의 현지화 교육에 좀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육 자료의 현지화를 통한 자료의 보급 활용 사업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ntir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project that has been promoted by the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of this foundation. Through this, a project direc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s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project. In the future, the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 needs to first seek to expand its business to various areas. Currently, most of the institute’s projects are biased toward education, so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proportion of cultural projects; such cultural projects should be expanded beyond education to include mutual cultural exchange activities. Next, it is necessary to avoid the problem of redundancy through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various ministries of the government and to emphasize the features that make the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 unique.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projects related to teacher training and strengthening teachers’ competencies. Since the King Sejong Institute Foundation operates many King Sejong Institutes abroad, it is necessary to focus more on localized education for teachers so that they can provide custom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cialized in their reg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attend to the project to distribute and utilize materials through the localiz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목차

1. 서론
2. 세종학당재단의 설립 목적 및 주요 사업
3. 세종학당재단 한국어교육 정책 관련 사업 분석
4. 세종학당재단 한국어교육 정책에 대한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향실(Hyangsil Chang),구민지(Minji Koo),이진경(Jinkyoung Lee),정다운(Dawoon Chung). (2022).세종학당재단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과 제안. 한국언어문화학, 19 (2), 313-342

MLA

장향실(Hyangsil Chang),구민지(Minji Koo),이진경(Jinkyoung Lee),정다운(Dawoon Chung). "세종학당재단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과 제안." 한국언어문화학, 19.2(2022): 313-3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