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세종학당 비대면 교육 운영 컨설팅 분석 도구 개발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sulting Analysis Tool for Non-face-to-face Education Operation of King Sejong Institut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방성원(Seongwon Bang) 권회림(Hoeirim Kwon) 서진숙(Jinsook Seo) 박성민(Seongmin Park) 천민지(Minji Chun)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2호, 23~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세종학당 비대면 한국어 교육 운영 컨설팅을 위한 분석 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세종학당 운영 컨설팅, 원격대학 평가 도구 등 유관 분석 도구를 검토하고 세종학당의 비대면교육 운영 상황을 바탕으로 컨설팅 분석 도구의 체계를 ‘교육과정, 수업, 교원, 학습자, 교수학습환경’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논의를통해 영역별로 점검해야 할 하위 부문과 지표의 내용을 기술하고 지표를 분석할 수 있는 점검 자료를 예시함으로써 분석 도구 구성을 체계화하였다. 이후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석 도구의 타당성을 점검하기위해 2회에 걸쳐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고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분석 도구를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도구는 향후 세종학당 비대면 교육 운영에 대한 컨설팅을 실시할 때 활용될 수있으며, 비대면 교육 운영 컨설팅을 필요로 하는 국내외 한국어 교육기관에서도 융통성 있게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analysis tool for non-face- to-face Korean language education operation consulting at King Sejong Institute. For this purpose, analysis tools for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King Sejong Institute operation consulting and cyber university evaluation tools were reviewed. The consulting analysis tool included the five areas of 'curriculum, class, teacher, learner, and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King Sejong Institute's non-face-to-face education operation. Through the discussion, the composition of analysis tools was systematized by describing the contents of sub-segments and indicators to be checked by area and exemplifying inspection data that could analyze the indicators. After that, an exper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nalysis tool, which was then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reflecting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analysis tool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when consulting on the non-face-to-face education operation of King Sejong Institute in the future. Moreover, it can be flexibly adopted by domestic and foreig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목차
1. 서론
2. 유관 교육 운영 컨설팅 도구 검토
3. 비대면 교육 운영 컨설팅 분석 도구의 구성
4. 세종학당 비대면 교육 운영 컨설팅 분석 도구의 타당성 점검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어사 영역의 문항 분석 연구
- 세종학당재단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과 제안
- 학습사전에서의 논항 교체 현상 제시 방안 연구 - ‘NP와/과'를 포함한 격틀을 중심으로
- 과테말라 공립 초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과제
- 세종학당 비대면 교육 운영 컨설팅 분석 도구 개발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아와 학습 동기에 대한 연구 - 비전, 시각적 스타일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 공공기관 재난 홍보자료 번역의 오류 분석 - 중국어 코로나19 홍보지를 중심으로
- 중국어 기쁨표현의 한국어 번역 연구 - 은유와 환유를 중심으로
- 한국어 번역 읽기 수업 과정과 실례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번역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 교육실습 강좌와 PCK 향상에 관한 유학생의 인식 조사 - FGI를 활용한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전략 비교 분석 - 한국인, 재한 중국인, 재중 중국인을 대상으로
- 한국어 교사의 교실 경영 경험에 나타난 교사 신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