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아와 학습 동기에 대한 연구 - 비전, 시각적 스타일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the Korean self and learning motivation of Chinese learners : Focusing on vision and visual styl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왕흠범(Xinfan 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2호, 131~172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L2 동기적 자아 체계(L2MSS)’를 중심으로 ‘이상적 한국어 자아’와 ‘필연적 한국어 자아’로 구성되는 한국어 자아가 한국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또한 학습자의 한국어 자아와 ‘시각적 스타일’, 그리고 ‘비전’과 한국어 학습 동기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자기 보고 설문지를 통해서 수집된 데이터를 SEM에 적용하기 위하여 ‘이상적 한국어 자아, 필연적 한국어 자아, 시각적 스타일, 상상력의 생동함, 동기화된 행동’의 5가지 잠재 변수들이 형성하는 7가지 경로를 포함하는 연구 모형을 가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상적 한국어 자아’와 ‘필연적 한국어 자아’는 모두 준거 측정치인 ‘동기화된 한국어 학습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동기를 예측할 수 있는데 전자의 이러한 예측력이 후자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습자의 ‘이상적 한국어 자아’가 ‘필연적 한국어 자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시각적 스타일을 갖는 학습자는 미래에 대한 비전이 더 강한데 이러한 비전은 학습자의 이상적 한국어 자아와 필연적 한국어 자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각적 정보 처리를 선호하는 시각적 학습자는 시각화 능력이 더 높고 상상력이 더 생동한데 이러한 시각화 능력과 상상력은 학습자로 하여금 미래의 한국어 학습자 이미지를 더욱 생생하고 명확하게 상상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earners’ possible selves comprising their ‘ideal Korean self’ and ‘ought-to Korean self’, visual styles, vision, and their motivation to learn Korean. 243 Chinese students replied 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at was used to obtain the data.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possible relationships between the aforementioned 5 latent variables. Both ‘ideal Korean self’ and ‘ought-to Korean self’ were found to predict motivated Korean learning behaviors; however, the former was found to be stronger than and significantly impacted by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learners who preferred visual styles were proven to have a stronger vision for the future, which emerged as a strong predictor of the two types of possible selves.
목차
1. 서론
2. L2MSS와 비전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어사 영역의 문항 분석 연구
- 세종학당재단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과 제안
- 학습사전에서의 논항 교체 현상 제시 방안 연구 - ‘NP와/과'를 포함한 격틀을 중심으로
- 과테말라 공립 초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과제
- 세종학당 비대면 교육 운영 컨설팅 분석 도구 개발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아와 학습 동기에 대한 연구 - 비전, 시각적 스타일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 공공기관 재난 홍보자료 번역의 오류 분석 - 중국어 코로나19 홍보지를 중심으로
- 중국어 기쁨표현의 한국어 번역 연구 - 은유와 환유를 중심으로
- 한국어 번역 읽기 수업 과정과 실례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번역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 교육실습 강좌와 PCK 향상에 관한 유학생의 인식 조사 - FGI를 활용한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전략 비교 분석 - 한국인, 재한 중국인, 재중 중국인을 대상으로
- 한국어 교사의 교실 경영 경험에 나타난 교사 신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