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어 기쁨표현의 한국어 번역 연구 - 은유와 환유를 중심으로
이용수 4
- 영문명
- Analysis of Chinese-Korean Translation of Joy Expressions : Focus on metaphor and metonymy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임형재(Hyung-Jae Lim) 송리연(Lijuan S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2호, 281~31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환유는 인간 감정을 표현하는 중요한 기제이다. 기쁨은 언어의 보편성을 가지면서도 기쁨표현이 해당 언어의 문화를 반영하므로 개별성도 있다. 이러한 기쁨에 대한 표현방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식하지 못하는 중국어권 번역 전공 학습자들은 한국어로 자연스럽게 번역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한 문학번역을 통해 무엇이 적합한 번역방식인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국어권 학습자에게 한중 기쁨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시켜 해석적 닮음에 해당하는 번역텍스트를 생성하는 것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 현대 소설 <微微一笑很倾城(미미의 미소는 아름답다)> (2009)와 <活着(인생)>(2007)의 중-한 번역본의 병렬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텍스트에서 기쁨표현을 가진 500개의 은유와 환유 표현을 선택하여, 번역본의 한국어 번역 방법을 분석하였다. 먼저 두 소설에 나타난 중국어 기쁨표현의 개념화 양상을 통해, 중국어 기쁨표현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았다. 중국어 기쁨표현의 유형은 직접적인 감정 표현의 노출이 가장 많았고, 뒤이어 환유 표현, 은유 표현의 순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신체반응을 가진 환유 표현에서 중국어가 신체의 세부적인 부분어를 사용한 경우, 한국어 번역문에서는 신체 부위를 지시하는 전체어가 사용되고 있음도 살필 수 있었다. 한국어 번역문에 대한 번역 방법 분석에서는 직접 번역에 해당하는 직역이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한 두 언어에서 공유하는 근원영역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한국어로 번역할 때 완전히 다른 신체 부위나 같은 신체 부위의 다른 반응으로 대체하는 양상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근원영역을 공유하는 은유 표현의 번역에서는 그대로 직역하거나, 수용성에 문제가 없는 경우 생략하는 방법을 선택한다. 이와는 달리 근원영역을 공유하지 않으면서 중국어에만 존재하는 특별한 근원영역을 가진 기쁨표현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아서, 한국어와 중국어의 은유 표현의 경우 근원영역의 일치율이 비교적 높다는 것을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예비 번역사들의 훈련 내용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영문 초록
Conceptual metaphor and conceptual metonymy are essential mechanisms for expressing human emotions. Jo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emotions of human beings, and it has the universality of language in the way it is understood through physiological reflection and specific objects. However, since the expression of joy reflects the cultu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xpressive effect. Due to these differences in expression methods for joy, it is difficult for Chinese Korean learners to translate expressions of joy into Korean naturally.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what is an appropriate translation method through Chinese-Korean literary translation. The study is intended to help the Chinese Korean learners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joy express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thereby helping them understand cultural differences and creating readable translated texts. In this study, a parallel corpus of the Chinese-Korean translation of 2 modern Chinese novels, “LOVE O2O(微微一笑很倾城)” (2009) and “To Live(活着)” (2007) was built. Furthermore, 500 metaphors and metonymous expressions with expressions of joy were selected from the text, and the Korean translation method of the translated version was analyzed.
목차
1. 서론
2. 기쁨표현의 연구와 번역
3. 기쁨표현의 개념화 양상과 번역
4. 기쁨표현의 번역 방법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어사 영역의 문항 분석 연구
- 세종학당재단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과 제안
- 학습사전에서의 논항 교체 현상 제시 방안 연구 - ‘NP와/과'를 포함한 격틀을 중심으로
- 과테말라 공립 초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과제
- 세종학당 비대면 교육 운영 컨설팅 분석 도구 개발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아와 학습 동기에 대한 연구 - 비전, 시각적 스타일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 공공기관 재난 홍보자료 번역의 오류 분석 - 중국어 코로나19 홍보지를 중심으로
- 중국어 기쁨표현의 한국어 번역 연구 - 은유와 환유를 중심으로
- 한국어 번역 읽기 수업 과정과 실례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번역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 교육실습 강좌와 PCK 향상에 관한 유학생의 인식 조사 - FGI를 활용한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전략 비교 분석 - 한국인, 재한 중국인, 재중 중국인을 대상으로
- 한국어 교사의 교실 경영 경험에 나타난 교사 신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