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실습 강좌와 PCK 향상에 관한 유학생의 인식 조사 - FGI를 활용한 사례 연구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Regar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e Courses and PCK Improvement : Case Study Using FGI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김민영(Min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9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 교육실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교사 전문성의 지표라 할 수 있는 PCK가 어떻게 향상되었는지, FGI를 통해 그 경험과 인식을 살펴본 일종의 사례 연구이다. 이 연구는 먼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제시했고 본론에서 그 답을 구했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어 교육실습 수강을 통해 PCK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교과 내용 지식, 교수 이론 지식, 상황 맥락 지식이 모두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들은 PCK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몇 가지 측면에서 의견을 제시했다. 교안 작성 연습이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한국어 교재를 모어로 만들 필요가 있다는 의견, 학습자 통제에 대한 교육도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셋째, 비원어민 대상 교육실습 교과에 관한 담론을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한다. 예컨대 교안을 한국어로 작성하는 것과 모어로 하는 것 가운데 어떠한 것이 보다 적합한지, 아직 부족한 교사의 한국어 능력으로 어떻게 수업을 진행해 나갈지, 한국어 학습자였기 때문에 강점으로 작용하는 교사로서의 간접 경험을 어떻게 활용할지 등에 대해 깊이 있게 논의해야 한다.
영문 초록
How is PCK improving in Korean education training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is study presented three research questions, which were answered through FGI. First, can international students improve their PCK while taking Korean education training? The answer is yes. We found that students' subject content, context, and pedagogical knowledge were all improved. Second, international students made some comments to further improve their PCK. They aimed to further practice teaching plans. Korean textbooks should be prepared for each language. Education on learner control should also be provided. Third, professors and researchers should study in earnest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ractice courses for non-native speakers.” For example, is it correct to make and write the textbook in Korean? As the teacher's Korean language skills are still lacking, how will the class proceed? How will they use their strength of experience as Korean learners?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it is a case study. Relevant research that can be more closely designed and generalizable should continue to be published.
목차
1. 서론
2. 기초 논의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한국어사 영역의 문항 분석 연구
- 세종학당재단 한국어교육 정책 현황과 제안
- 학습사전에서의 논항 교체 현상 제시 방안 연구 - ‘NP와/과'를 포함한 격틀을 중심으로
- 과테말라 공립 초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과제
- 세종학당 비대면 교육 운영 컨설팅 분석 도구 개발 연구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아와 학습 동기에 대한 연구 - 비전, 시각적 스타일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 공공기관 재난 홍보자료 번역의 오류 분석 - 중국어 코로나19 홍보지를 중심으로
- 중국어 기쁨표현의 한국어 번역 연구 - 은유와 환유를 중심으로
- 한국어 번역 읽기 수업 과정과 실례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번역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어 교육실습 강좌와 PCK 향상에 관한 유학생의 인식 조사 - FGI를 활용한 사례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전략 비교 분석 - 한국인, 재한 중국인, 재중 중국인을 대상으로
- 한국어 교사의 교실 경영 경험에 나타난 교사 신념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