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명리약언』에 나타난 격국론에 관한 고찰
이용수 158
- 영문명
- A study on the Gyeokgook theory found in 『Myeongliyakeon』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우연화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87집, 127~14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청대 초에 저술된 『명리약언』을 통하여 진소암이 주장하는 격국의 판단 기준과 격국론의 특징을 고찰한 것이다. 『명리약언』에 나타난 격국의 판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간과 월지를 중심으로 격을 판단한다. 격국은 먼저 일간을 보고, 월지와의 오행학적 관계를 따져 격을 판단하였으며 일간 외의 천간들도 월령을 기준으로 관계를 보았다. 둘째, 격국을 6격으로 분류하였다. 정격은 정관격, 편관격, 인격, 재격, 식신격, 상관격의 6격이며 변격은 종격, 화기격, 일행득기격, 양신성상격, 암충·암합격으로 통합하였다. 정격은 다시 길한 격과 흉한 격으로 나누었고, 정격과 변격은 활용법에서 차이를 두고 있다. 셋째, 격국을 판단하는 순서가 있다. 먼저 월지 지장간에서 본기가 투간 되었는지 보고, 본기가 투간 되지 않은 상태에서 극을 당하면 월지 지장간의 중기나 여기를 보고, 월지에서 투간 된 것이 없이 극을 당한 경우에는 다른 간지를 본다. 『명리약언』의 격국론에 나타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잡격을 간소화하였다. 수많은 신살과 잡격을 대부분 배제하여, 난해하고 복잡하던 격국 종류를 정6격과 변6격으로 간략화하였고 건록 양인 비견 겁재 등은 격으로 삼지 않았다. 둘째, 정격에서 겸격을 새롭게 수용하였다. 십성을 재 > 관 > 편관 > 인의 순서로 중요도를 정하고 겸격의 명칭을 붙였다. 셋째, 다양한 시각으로 격국을 구분하였다. 격이 이루어지거나 깨어질 수 있는 가변성을 인정하였으며 부귀길수한 것을 상격으로, 빈천흉요한 것을 하격으로 보아 각각 열거하였다. 넷째, 본기를 중심으로 지장간의 투간을 보았다. 이는 사령일수를 기준으로 지장간을 분류하던 '날짜 중심 투간법'에서, 기의 세기를 기준으로 지장간을 분류하는 '기중심 투간법'으로 투간의 우선순위가 전환된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riteria for judgment of Gyeokguk(格局)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yeokguk theory claimed by Jin So-am through the Myeongliyakeon(命理約言) written in the early Cheong Dynasty. The criteria for judging Gyeokguk(格局) shown in Myeongliyakeon(命理約言) are as follows. First, we judge the Gyeokguk(格局) based on Ilgan(日干) and Wolji(月支). we looked at the IIgan(日干) first, and judged the Gyeokguk(格局)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Igan(日干) and Wolji(月支). Second, Gyeokguk(格局) was classified as Jeong Six-gyeok(正六格) and Byeon Six-gyeok(變六格). Again, the Jeonggyeok(正格) was divided into good and bad. Jeonggyeok(正格) and Byeongyeok(變格) differ in application methods. Third, there is an order of judging Gyeokguk(格局). See if Wolji(月支)'s Bongi(本氣) has been Tugan(透干), look at Junggi(中氣) or Yeogi(餘氣), and look at other kanji(干支). The characteristics of Myeongliyakeon(命理約言)'s the Gyeokguk theory are as follows. First, Sinsal(神殺) was excluded and the Jabgyeok (雜格) was simplified. The same five elements(五行) were not viewed as a sudden Gyeokguk(格局). Second, in Jeong Six-gyeok(正六格), the concurrent sentence Gyeomgyeok(兼格) was newly accepted. The importance of Sipseong(十星) was determined in the order of Jae(財) > Gwan(官) > Pyeongwan(偏官) > In(印), and the name of the Gyeomgyeok(兼格) was given. Third, Gyeokguk(格局) countries were classified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variability of Gyeokguk(格局) was recognized. Sixty Sanggyeok(上格) and Sixty Hagyeok(下格) were listed. Fourth, Tugan(透干) was considered centering on the Bongi(本氣) of Wolji(月支). The priority of Tugan(透干) has changed from the 'date-centered Tugan(透干) method' to the 'BongiI(本氣) Tugan(透干) method'.
목차
Ⅰ. 서론
Ⅱ. 격국 판단 기준
Ⅲ. 격국론의 특징
Ⅳ.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중국인문과학 제87집 목차
- 南北朝時期特指疑問句疑問代詞及其地域差異探究
- “乌台诗案”的舆论博弈
- 춘천 ‘외바퀴수레싸움’을 통한 八關會와 중국 廟會의 연관성 연구
- 국내 화인문학 연구의 메타분석에 따른 시각과 정체성의 윤리
- 「孫子吳起列傳」의 吳起 인물 형상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중국 고전시가 연구 - 소동파의 시를 중심으로
- 한국어 ‘말하다, 말씀하다’와 중국어 ‘說’의 의미 대조 연구
- 基于力动态模型的韩国语副词 “겨우”的汉语对应表达探析
- 『명리약언』에 나타난 격국론에 관한 고찰
- 韩国古小说序跋中的中国小说艺术探索 - 以评论、章回体和评点为中心
- ≪沉香屑·第一炉香≫所表现的薇龙的欲望
- 在文史语境中探析启蒙鲁迅的“神话” - “幻灯片事件”新探
- ≪蜀山劍俠傳≫的道教生命觀與文學建構
- 환상을 통해 드러나는 폭력과 위반 - 옌롄커의 『일광유년(日光流年)』 연구
- 시공간을 초월한 영혼의 여정 - 자시다와(扎西達娃)의 『티베트, 가죽끈 매듭에 묶인 영혼(西藏, 系在皮绳结上的魂)』 속 가죽끈, 기억, 종교 모티프의 문학적 분석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판화에 새겨진 시대정신, 루쉰(魯迅)과 케테 콜비츠를 잇다
- 电商时代中国非物质文化遗产的保护与传承 - 以湖南省湘绣为例
- ≪韩国语讲中国文化≫中文化负载词的韩译情况探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