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基于力动态模型的韩国语副词 “겨우”的汉语对应表达探析
이용수 146
- 영문명
- Chinese Correspondence Expression and Internal Semantic Differentiation of Adverb 'Gyeou' in Korean Based on Force Dynamics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단청총(单清丛)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87집, 39~6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어 부사 '겨우'는 전형적 다의어이다. 본 연구는 주로 Talmy(2000)및 König(1979)의 해당 이론 및 분석을 결합하여 한중 대응에 입각하여 부사 '겨우'의 중국어 대응 표현 유형 및 내부 의미 분화 확장을 살펴본다. 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어낼 수 있다. 부사 '겨우'는 보통 '어려움 겪는 유형(현저한 표현)', '어려움 겪는 유형(잠재적 표현)', 한정(限定) 유형, 경시(轻视) 유형, 불만 유형, 임계점 가까움 유형(迫近临界点类型), 공교로운 유형(恰巧类型) 및 무표지 유형으로 나뉘고 각 유형별로 비교적 고정된 중국어 표현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겨우’의 각 유형의 힘의 동적 표현, 시간 및 추상 차원의 표현, 기대 특징 등 면에 유사점이 있지만 유형별로 비교적 뚜렷한 특징을 가진다. 부사 '겨우'의 해당 의미 유형 및 특징에서 살펴보면 '겨우'의 내부 의미 분화 및 확장은 주로 언표외적 작용, 화용 전이 및 기대-평가의 상호 작용 메커니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고는 해당 연구를 통해 한국어 또는 중국어 학습자에게 다소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Korean adverb 'Gyeou' is a typical polysemous expression. This article mainly combines the relevant theories and analysis methods of Talmy (2000) and König (1979), and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Chinese correspondence, the Chinese corresponding expression types and expressions of the adverb 'Gyeou' are analyzed. Its internal semantic differentiation and expansion will be investigated. Preliminary conclusions can be drawn as follows: 'Gyeou' can roughly correspond to the following eight types: hardship type (explicit type), the hardship type (implicit type), the limited type, the contempt type, the dissatisfaction type, the approaching critical point type, the coincidental type, and the unmarked type. Its different types have similar but distinc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force dynamic performance, relatively abstract dimensions such as time, and expectation characteristics. Judging from its corresponding semantic types and related characteristics, the internal semantic differentiation and expansion of the Korean adverb 'Gyeou' are closely related to mechanisms such as illocutionary force, pragmatic transfer, and expectation-evaluation interaction.
목차
Ⅰ. 问题的提出
Ⅱ. 前人研究
Ⅲ. 理论背景
Ⅳ. 韩国语副词“겨우”对应的汉语表达类型及相关解释
Ⅴ. 韩国语副词“겨우”的内部语义分化机制
Ⅵ. 结语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중국인문과학 제87집 목차
- 南北朝時期特指疑問句疑問代詞及其地域差異探究
- “乌台诗案”的舆论博弈
- 춘천 ‘외바퀴수레싸움’을 통한 八關會와 중국 廟會의 연관성 연구
- 국내 화인문학 연구의 메타분석에 따른 시각과 정체성의 윤리
- 「孫子吳起列傳」의 吳起 인물 형상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중국 고전시가 연구 - 소동파의 시를 중심으로
- 한국어 ‘말하다, 말씀하다’와 중국어 ‘說’의 의미 대조 연구
- 基于力动态模型的韩国语副词 “겨우”的汉语对应表达探析
- 『명리약언』에 나타난 격국론에 관한 고찰
- 韩国古小说序跋中的中国小说艺术探索 - 以评论、章回体和评点为中心
- ≪沉香屑·第一炉香≫所表现的薇龙的欲望
- 在文史语境中探析启蒙鲁迅的“神话” - “幻灯片事件”新探
- ≪蜀山劍俠傳≫的道教生命觀與文學建構
- 환상을 통해 드러나는 폭력과 위반 - 옌롄커의 『일광유년(日光流年)』 연구
- 시공간을 초월한 영혼의 여정 - 자시다와(扎西達娃)의 『티베트, 가죽끈 매듭에 묶인 영혼(西藏, 系在皮绳结上的魂)』 속 가죽끈, 기억, 종교 모티프의 문학적 분석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판화에 새겨진 시대정신, 루쉰(魯迅)과 케테 콜비츠를 잇다
- 电商时代中国非物质文化遗产的保护与传承 - 以湖南省湘绣为例
- ≪韩国语讲中国文化≫中文化负载词的韩译情况探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