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孫子吳起列傳」의 吳起 인물 형상 연구
이용수 154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Embodiment of the Figure called Wugi in Biographies of Sunzi and Wuqi in the Records of Grand Historian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심은경 김원중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87집, 63~8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孫子吳起列傳」 ‘吳起傳’의 “好用兵:刻暴少恩” 구절을 중심으로 한 ‘노나라-위나라-초나라’에서의 행적에 따른 서사 전개별 포폄의 실태 양상을 분석하여 사마천이 ‘오기’라는 인물을 형상화한 특징을 고찰하였다. ‘오기전’에서 사마천은 포폄 양상을 서술하기 위해서 “好用兵”한 면모와 “刻暴少恩”한 면모를 갈마들며 서술하는데, ‘疑’ 자를 활용하여 재능과 별도로 그의 각박한 사람됨을 강조하고 있고, “就名, 遂殺其妻”한다는 사실 자체는 그의 야박함에 증자가 관계를 끊은 사실과 연결되는 것으로, 이는 당대의 노나라와 위나라의 형세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문학적 장치라 하겠다. 위나라 武侯와의 대화 역시 임금의 덕행을 강조하여 바른 신하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으나, 재상 직책을 두고 田文과 나눈 대화나 公叔과 하인의 대화, 그리고 결말부의 太史公曰의 내용을 보면 사마천의 ‘오기’에 대한 이중적 면모를 드러내는 서술 의도가 분명하게 밝혀진다. 또한 ‘오기’가 초나라의 재상이 되어 활약한 공적이 서술되어 있는데, 이는 그의 업적을 과장하는 의도로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오기전’에서의 ‘오기’의 죽음에 대한 대목 역시 「魏世家」의 내용을 호견하여 보면 후대의 호사가들이 지어낸 이야기를 바탕으로 사마천이 과장하여 서술한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요컨대, 사마천이 ‘오기전’을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의도를 살펴보자면 재능의 공과에 대한 褒揚 조차 신랄한 과장으로 조소하고 소문이나 일화, 대화 기법 등을 통해 비인격적 면모를 부각하고 있는데, 이는 병가의 인물에 대한 부정적 시각과 명성에 지나치게 집착한 인물에 대한 안타까운 일면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라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ntemplated the embodiment of the figure called Wuqi made by Sima Qian by analyzing the pattern by narrative development focusing on the the phrases of the well treatment of soldiers and the heartlessness and mercilessness in Biography of Wuqi.
In Biography of Wuqi, Sima Qian describes the well treatment of soldiers and the heartlessness and mercilessness alternately to depict the two patterns of the determination by judging the the right or the wrong and the good and the evil, and put emphasis on his heartless personality by using the character called suspicion apart from his talent.
The dialogue with Marguis wen(文) also showes the rightous vassal by emphasizing the the virtue of the king. But the intention of Sima Qian on the Wuqi through the dialogues between Junmun and him on the issue of prime minister, and the dialogues between Gonsuk and servant, and the contents of the final parts of Taesagonwal.
The description that Wuqi contributed to Chao country in warring sates as a prime minister is used as an intention to exaggerate his contribution. It can be inferred that Sima Qian exaggerated the narration based on the gossips and the passage about the death of Wuqi in Biography of Wuqi by contrasting the contents in Wushijia.
In short, we can take a look at Sima Qian’s intention of literary embodiment of Biography of Wuqi. Sima Qian make an bitterly exaggerated ridicule of the praises on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talent in the introductory part, which is to show the negative perspectives on the figure of the military school(兵家) and the lamentable aspects of the figure who excessiveley preoccupied with repu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好用兵:刻暴少恩” 구절을 통해서 본 서사 전개별 포폄 양상
Ⅲ. “刻暴少恩:就名” 구절에 대한 사마천의 ‘오기’ 인물관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중국인문과학 제87집 목차
- 南北朝時期特指疑問句疑問代詞及其地域差異探究
- “乌台诗案”的舆论博弈
- 춘천 ‘외바퀴수레싸움’을 통한 八關會와 중국 廟會의 연관성 연구
- 국내 화인문학 연구의 메타분석에 따른 시각과 정체성의 윤리
- 「孫子吳起列傳」의 吳起 인물 형상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중국 고전시가 연구 - 소동파의 시를 중심으로
- 한국어 ‘말하다, 말씀하다’와 중국어 ‘說’의 의미 대조 연구
- 基于力动态模型的韩国语副词 “겨우”的汉语对应表达探析
- 『명리약언』에 나타난 격국론에 관한 고찰
- 韩国古小说序跋中的中国小说艺术探索 - 以评论、章回体和评点为中心
- ≪沉香屑·第一炉香≫所表现的薇龙的欲望
- 在文史语境中探析启蒙鲁迅的“神话” - “幻灯片事件”新探
- ≪蜀山劍俠傳≫的道教生命觀與文學建構
- 환상을 통해 드러나는 폭력과 위반 - 옌롄커의 『일광유년(日光流年)』 연구
- 시공간을 초월한 영혼의 여정 - 자시다와(扎西達娃)의 『티베트, 가죽끈 매듭에 묶인 영혼(西藏, 系在皮绳结上的魂)』 속 가죽끈, 기억, 종교 모티프의 문학적 분석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판화에 새겨진 시대정신, 루쉰(魯迅)과 케테 콜비츠를 잇다
- 电商时代中国非物质文化遗产的保护与传承 - 以湖南省湘绣为例
- ≪韩国语讲中国文化≫中文化负载词的韩译情况探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ICOM의 새로운 박물관 정의와 한국 공립박물관의 지향점 모색
- 면역성과 취약성의 교차적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생명/삶의 정치
-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교수자의 인식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