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번역] 변문이라는 문체의 일본으로의 전파에 대해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 저자명
- 노요한
- 간행물 정보
- 『동아한학연구』제10호, 277~29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南北朝末期에서 初唐에 걸쳐 駢文이라는 문체가 중국에서 완성되고 세련화되었다. 변문은 전거의 다용, 대구의 정제, 평측의 교체라는 규칙을 가진 매우 기교적인 문체였지만, 기교적이었던 까닭에 이 규칙을 따르면 누구라도 지을 수 있는, 학습해서 지을 수 있는 문체였다. 일본에서도 『懐風藻』에 실린 詩序나 현대까지 전하는 몇몇 墓誌 · 写経識語등에서 700년대 전반에는 정제된 변문이 지어지게 되었음이 분명하다.
일본에서의 변문은 국제적인 외교의 장이기도 하였던 宴席이나, 死者의 기념, 그리고 사원에 봉헌된 寫經에 붙인 문장에서 사용되었다. 창작에 당해서는 문체뿐만 아니라 중국의 같은 장르의 선행작품군이 규범으로서 의식되었다. 그 의미에서 변문이라는 문체는 당시의 일본으로서는 단순한 문체인 이상으로, 문화를 담은 그릇이었다. 그리고 변문과 변문으로 지어진 각 장르의 틀을 터득함으로써 일본의 변문작품은 동아시아 한문학에 참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한편으로 그 틀은 감정을 품는 방법, 사물을 보는 방법과 같은 사고의 틀도 형성하게 되었다. 적어도 나라시대의 일본의 한문학 작품은 표현에서 감정 · 사고가 생겨났다고 말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들어가며
一. 중국에서의 騈文의 완성
二. 일본의 변문 유입
三. 奈良朝의 변문 작성과 그 의미
四. ‘틀’의 문학, 또한 문화를 담는 그릇으로서 변문
마치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번역] 음영의 공간 - 시와 노래
- 駢文という文体の日本への伝播について
- 明末淸初 名妓 출신 예술가와 조선의 수용(1) : 馬湘蘭과 柳如是를 중심으로
- [번역] 텍스트가 만들어낸 '고대'·'역사'·'노래' : 방법으로서의 텍스트 이해
- 동아한학연구 제10호 목차
- 十六國霸史文獻的新發現與新考證 : 以汲古書院和刻南監本《晉書·載記》為中心
- [번역] 十六國 覇史文獻의 新發見과 新考證 : 汲古書 院和刻南監本 『晉書·載記』를 중심으로
- 朝鮮의 朱子學과 『朱子大全箚疑輯補』
- 吟詠の空間 : 詩とうた
- [번역] 명청시기 서적 유통과 朝鮮女性의 詩文 : 『蘭雪軒集』의 編輯 出版을 中心으로
- [번역] 한국 고대 단오의 활동 내용과 특징 - 중국 고대 단오와의 비교를 겸하여
- 明淸之際書籍環流與朝鮮女性詩文 : 以《蘭雪軒集》的編輯出版爲中心
- テキストがあらしめた『古代』·『歴史』·『歌』 : 方法としてのテキスト理解
- [번역] 변문이라는 문체의 일본으로의 전파에 대해
- 論韓國古代端午的活動內容及特點 - 兼與中國古代端午相比較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