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이용수 0
- 영문명
- AI's perception and response to gender discrimination language
- 발행기관
- 한국사회언어학회
- 저자명
- 이정복(Jeongbok Lee)
- 간행물 정보
- 『사회언어학』제33권 2호, 85~128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s how three AI models—ChatGPT, DeepSeek, and Clova X—detect and respond to gender-biased expressions in Korean. Clova X exhibited the highest accuracy in identifying discriminatory language, followed by ChatGPT, while DeepSeek performed the poorest. While terms like “kimchi girl” and “doenjang girl” were correctly recognized, phrases such as “female doctor” and “maiden work” were often misinterpreted. ChatGPT and DeepSeek occasionally provided inaccurate definitions, raising concerns about misinformation. Interestingly, DeepSeek performed best when interpreting sexist proverbs, although the overall differences across models were minor. All three models generally succeeded in recognizing biased expressions in conversational contexts, but DeepSeek struggled with non-standard sentence formats, leading to delays or missing responses. These results reveal current limitations in generative AI’s ability to process culturally specific and nuanced language. This study emphasized the need to incorporate more diverse Korean language data and up-to-date linguistic research in AI training. As generative AI tools become more integrated into everyday communication, improving their ability to detect and respond to gender biases is crucial for fostering fair and responsible language technologies.
영문 초록
목차
1. 머리말
2. 성차별 단어의 인식과 뜻풀이
3. 성차별 속담의 인식과 대응
4. 성차별 관용구 사용에 대한 인식과 대응
5.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 표현론적 관점에서 단어 형성의 한 특성: 남북한 경제 전문용어를 중심으로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북한 방언의 정서적 층위 연구: ‘남북한 문화 동질성 회복’을 중심으로
- 17세기 왕실 언간과 양반가 언간의 비교 연구
- 유아-GPT-성인 화자 담화에서 드러나는 상호작용 전략과 의미 협상: 주양육자의 언어적 중재를 중심으로
- ‘한국인’ 정체성의 구성과 재현: 유튜브 레오티비의 댓글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 표현론적 관점에서 단어 형성의 한 특성: 남북한 경제 전문용어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