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明淸之際書籍環流與朝鮮女性詩文 : 以《蘭雪軒集》的編輯出版爲中心
이용수 0
- 영문명
- Circulation of Texts in Ming-Ching Period and the Works of Female Writers in Josoen : Focused on Editing and Publication of Nanseolheonjip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 저자명
- 張伯偉
- 간행물 정보
- 『동아한학연구』제10호, 7~3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蘭雪軒集』的編纂是許筠違背其姊氏意願的行爲, 而在十八年後最終出版, 又是一系列事件發生和作用下的結果。這一系列事件總括起來, 便是晚明與朝鮮之間的書籍環流。書籍是知識的載體, 其中蘊含的觀念、立場、信仰等, 在環流之際不斷發生影響, 刺激並改變了人們的思想和行爲。以女性創作而言, 就是使得朝鮮士大夫階層接受、認同了閨秀創作的“正當性”與“合法性”, 促使許筠堂而皇之地印行了姊氏詩集。展現出來的歷史畫卷不是性别之間的“戰爭”, 而是温柔的“合作”。『蘭雪軒集』在朝鮮的出版,標誌著一個新時代的來臨。女性創作從此衝出閨門, 走向公眾。幾乎與走向公眾的實踐同步, 女性創作混雜了許多贋品。當對名望的渴求壓倒了向世界的真誠訴說, 詩一變而爲博取聲名的手段。在編纂女性詩文集時, 爲了張大聲勢, 甚至不願正視真相, 導致魚目混珠, 這是今天面對東亞女性創作文獻時需要特别警惕的。從十八世紀中葉開始, 女性的文學自覺、性别意識和不朽觀念也進一步提昇, 生前自編文集的行爲就是這種觀念的實踐。于是女性也與男性一起直接參與到書籍環流之中, 將自己的觀念和情感投入其中, 用這樣的方式與不同時空中的男性或女性對話、呼應、爭辯, 現存的十一種女性詩文集刊本就是其標誌性成果。
영문 초록
목차
一. 引言
二. 從“私密”走向“公衆”
三. 名聲的“雙刃劍”
四. 結語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번역] 음영의 공간 - 시와 노래
- 駢文という文体の日本への伝播について
- 明末淸初 名妓 출신 예술가와 조선의 수용(1) : 馬湘蘭과 柳如是를 중심으로
- [번역] 텍스트가 만들어낸 '고대'·'역사'·'노래' : 방법으로서의 텍스트 이해
- 동아한학연구 제10호 목차
- 十六國霸史文獻的新發現與新考證 : 以汲古書院和刻南監本《晉書·載記》為中心
- [번역] 十六國 覇史文獻의 新發見과 新考證 : 汲古書 院和刻南監本 『晉書·載記』를 중심으로
- 朝鮮의 朱子學과 『朱子大全箚疑輯補』
- 吟詠の空間 : 詩とうた
- [번역] 명청시기 서적 유통과 朝鮮女性의 詩文 : 『蘭雪軒集』의 編輯 出版을 中心으로
- [번역] 한국 고대 단오의 활동 내용과 특징 - 중국 고대 단오와의 비교를 겸하여
- 明淸之際書籍環流與朝鮮女性詩文 : 以《蘭雪軒集》的編輯出版爲中心
- テキストがあらしめた『古代』·『歴史』·『歌』 : 方法としてのテキスト理解
- [번역] 변문이라는 문체의 일본으로의 전파에 대해
- 論韓國古代端午的活動內容及特點 - 兼與中國古代端午相比較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언어학분야 NEW
- Bridging Cultures through Worship: Language Policy, Identity, and the Role of the Church in Times of Crisis
- 성차별 언어에 대한 인공지능의 인식과 대응
- Navigating Dual Linguistic Challenges: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daptation to English-Medium Instruction in Korean Higher Educatio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