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래형 특수교육 교과서와 수업 장면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n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nd Class Scenes in Future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윤애영(Ae-Young Yoon) 이미숙(Misuk Lee)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6권 제1호, 201~2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사들이 미래형 특수교육 교과서와 수업 장면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미래형 특수교육 교과서와 수업에 대한 발전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들은 미래로 향하는 교육의 흐름을 느끼며 특수교사만의 고충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 수업을 보완하는 미래형 특수교육 수업 장면에 대해 기대를 갖고 있었다. 셋째, 특수교사들은 미래형 특수교육 수업을 운영하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넷째, 특수교사들은 변화하는 미래형 특수교육의 흐름 속에서 장애학생의 개별화에 초점을 맞추어 운영해야한다고 하였다. 결론: 학교, 교육청, 유관기관 등은 교사들이 수업 다양성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제반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focused to find out what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of future special education textbooks and class scenes are, and to examin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Method: For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are working to run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felt the flow of education toward the future and had their own difficulties.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expectations about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 scenes that complement special education classe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aid that there were realistic limitations in operating future special education classes. Fourth, it was said that special teachers should run classes by integrating flow of future special education. Conclusion: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schools and offices of education need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eachers can strive for class divers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짝 드럼 연주에서 나타난 대인간 동기화 수행력과 사회운동기술의 관계
- 발달장애학생의 생애주기별 진로발달과업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ASD 아동에 CABAS® 모델을 적용한 응용행동분석 기반의 조기집중행동중재: 사례연구
- 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진로·직업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발달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중수직선을 활용한 직접교수가 수학학습장애 중학생의 일차방정식 덧셈 연산에 미치는 효과
- 미래형 특수교육 교과서와 수업 장면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연구
- 브이로그 제작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디지털 일상 기록 기술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