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짝 드럼 연주에서 나타난 대인간 동기화 수행력과 사회운동기술의 관계
이용수 8
- 영문명
-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Performance in Dyadic Drumm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Social Motor Skill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유가을(Ga Eul Yoo) 하은진(Eun Jin Ha)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6권 제1호, 125~1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짝 드럼 연주에서 측정된 대인간 동기화 과제 수행력을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의 사회운동기술을 평가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평균 연령 9.9세의 ASD 아동 11명은 연구자와 짝을 이루어 연구자의 탭핑에 맞추어 드럼을 탭핑하는 과제에 참여하였고, 동기화 지시, 음악적 큐, 탭핑 속도 등 다양한 조건에서 그 수행력이 평가되었다. 대인간 동기화 수행력은 정확도(동기화 오류값), 일관성(동기화 오류의 변동계수), 즉각성(동기화 시점)의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동기화 지시나 음악적 큐가 제공될 때 동기화 정확도와 즉각성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대인간 동기화 지표는 전반적인 자폐의 특질, 보다 구체적인 사회기술, 운동 조절을 측정하는 지표와의 상관관계에 있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ASD 아동의 사회운동기술을 평가하는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하며, 개별적인 필요에 따라 과제를 조정하는 전략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social motor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rough interpersonal synchronization during dyadic drumming. Method: Eleven children with ASD, with a mean age of 9.9 years, engaged in drum tapping in sync with an investigator, adapting to varying conditions involving synchronization directions, musical cueing, and tempo changes. Their performance was evaluated for accuracy (synchronization errors), precision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immediacy (synchronization timing). Results: Explicit directions and musical cueing significantly improved accuracy and immediacy in synchronization. Tempo adjustments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rformance. Furthermore, each measure, representing distinct aspects of synchronization, correlated differently with overall autistic traits, specific social skills, and motor control.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lternative approaches to understand social motor skills, proposing task adjustments tailored to this popul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짝 드럼 연주에서 나타난 대인간 동기화 수행력과 사회운동기술의 관계
- 발달장애학생의 생애주기별 진로발달과업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ASD 아동에 CABAS® 모델을 적용한 응용행동분석 기반의 조기집중행동중재: 사례연구
- 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진로·직업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발달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중수직선을 활용한 직접교수가 수학학습장애 중학생의 일차방정식 덧셈 연산에 미치는 효과
- 미래형 특수교육 교과서와 수업 장면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연구
- 브이로그 제작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디지털 일상 기록 기술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