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중수직선을 활용한 직접교수가 수학학습장애 중학생의 일차방정식 덧셈 연산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
- 영문명
- The Effect of Direct Instruction Using Double Number Lines on the Addition of Linear Equations i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박선영(Sun-young Park) 김자경(Ja-k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6권 제1호, 31~5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이중수직선을 활용한 직접교수가 수학학습장애 중학생의 일차방정식 덧셈 연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B시에 소재한 중학교 2, 3학년 학습장애 학생 3명을 선정하였고, AB 설계를 사용해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에서 일차방정식 덧셈 연산 평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일차방정식의 개념 및 용어 이해 2차시와 이중수직선을 활용한 일차방정식 처리 기술 14차시, 총 16차시로 구성하였다. 중재는 주 3회 30분간 직접교수의 절차에 따라 제공되었다. 매 회기 중재가 끝난 직후 진전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중수직선을 활용한 직접교수가 3명의 연구 참여 학생 모두에게 효과적이었음이 확인되었고, 이러한 효과는 중재 종료 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 이중수직선을 활용한 직접교수는 수학학습장애 중학생들의 일차방정식의 덧셈 연산 능력 향상과 유지에 효과적인 전략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direct instruction using a double number lines affects the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ies to calculate linear equations. Method: Thre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2nd and 3rd grades of middle school located in B city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by performing linear equation addition and computational evaluation at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stages using the AB design. The intervention program consisted of 2 sessions for understanding the concepts and terms of linear equations, 14 sessions for linear equation processing technology using double number lines, and a total of 16 sessions. Intervention was provid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a direct instruction for 30 minutes three times a week. Progress evaluation was conducted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of each session was completed.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direct instruction using double number lines was effective for all three participating students, and this effect was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direct instruction using double number lines was an effective strategy for calculating the addition of linear equations and maintaining the abi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mathematical learning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짝 드럼 연주에서 나타난 대인간 동기화 수행력과 사회운동기술의 관계
- 발달장애학생의 생애주기별 진로발달과업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ASD 아동에 CABAS® 모델을 적용한 응용행동분석 기반의 조기집중행동중재: 사례연구
- 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진로·직업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발달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이중수직선을 활용한 직접교수가 수학학습장애 중학생의 일차방정식 덧셈 연산에 미치는 효과
- 미래형 특수교육 교과서와 수업 장면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연구
- 브이로그 제작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디지털 일상 기록 기술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