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진로·직업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3

영문명
A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박선희(Sun-Hee Park) 박재국(Jae-Kook Park)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6권 제1호, 55~8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특수교사가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진로·직업교육을 운영하면서 체험한 현장에서의 경험을 질적 연구물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진로·직업교육의 개선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0년부터 2022년까지 고등학교 특수교사가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진로·직업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의 목소리가 담긴 질적 연구물 11편에 관해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의 7단계에 따라 주제와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새로운 범주를 찾고 범주에 따라 재배치하고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개념들, 하위범주,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의 질적 연구들이 다루고 있는 주제와 내용은 앞으로의 진로·직업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개념으로 분석되었고 이를 종합하여 4가지 상위범주로 나타내었다: (1) 진로·직업교육의 기초를 다지는 인식 개선하기, (2) 진로·직업교육에 집중하게 구조 개선하기, (3) 취업과 학생 맞춤형으로 내용 개선하기, (4) 지속 가능한 네트워크로 협력하기. 결론: 고등학교 특수교육 대상자의 진로·직업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강화하고 성과를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했으며, 그와 함께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field as they conducted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study sought to explore ways to improv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Method: A qualitative meta-synthesis was conducted on 11 qualitative studies containing the vo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rom 2010 to 2022. By comparing and analyzing topics and contents according to the seven steps of qualitative meta-synthesis, new categories were found and concepts, subordinate categories, and superordinate 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rearrangement and re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categories. Results: The topics and contents covered by the qualitative studi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nalyzed into concepts that suggest solutions for futur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by synthesizing them, four superordinate categories were derived: (1) Improving awareness of laying the foundation for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2) Improving the structure to focus o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3) Improving content tailored to employment and students, (4) Collaborating through a sustainable network. Conclusion: The improvement directions were discussed to strengthen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of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students and to resolve problems that hinder the performance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additionally implica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선희(Sun-Hee Park),박재국(Jae-Kook Park). (2024).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진로·직업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6 (1), 55-88

MLA

박선희(Sun-Hee Park),박재국(Jae-Kook Park). "고등학교 특수교사의 진로·직업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특수아동교육연구, 26.1(2024): 55-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