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hilosophical Framework in the Film and Novel ‘Norwegian Wood’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황영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7호, 421~4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begins from the recognition that grasping producers’ speculation system is considerably important in understanding of their works. The speculation system of author has been only accessed by viewpoint of dramatization so far when literature is made into a film. This study focuses on the thinking system found in written by Murakami Haruki, an author highly respected as a postmodern author influenced by American literature and in the film of the same title directed by Tran Anh Hung. The nature-friendly symbolism and the exploration into human nature in the novel and the film is in collusion with Taoism. This paper, firstly,looks at the characteristics of Tran Ahn Hung showed in his film and then access to the speculation system revealed in the changed part that has dramatized and expressed in films. Taoism philosophical framework is found in Tran Anh Hung’s film version in the sequence of Naoko’s nursing home episode where shots were largely focused on natural landscapes rather than on people. The fact that the film is centered on sex also proves that it bases itself upon Taoist philosophy which centers on human instincts. This isn’t irrelevant to Haruki’s work so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duality of language and the impossibility of its delivery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Lao-tsu’s .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reveal that the quotation of a number of music scores is the result of Haruki’s emotion/instinct-centered thoughts, and that Lao-tsu’s correlational thoughts-where life and death are not separate but simply a correlational difference-are reflected in Haruki’s works. The characters’choice and attitude toward suicide in can also be seen as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culture. Haruki’s description of the violent student protests in the 1960s even shows a sense of personal loss. Because of these features, is post-modern, and that is where it meets with Taoism philosophy. This paper see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speculation system of Lao-tzu and the one of and refutes the idea that the film only highlights the sexual part from the original novel. It also reveals that the novel is simply more than a memorandum full of growing pains and hurts from love but it is a work created in the deeper thinking system watching nature and human. The novel is originated from the underlying reason beyond reality rather than ignoring his age and history. This study is the first of its kind into the film ,and has the significance of being the first thesis that applied Taoism philosophical framework to interpreting it.
목차
1. 머리말
2. 영화 <상실의 시대>의 사유체계
3. 소설 『상실의 시대』의 사유체계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다르 영화에서 카리나 시기 스타일 분석
- 미학적 장치와 영화적 효과의 상관관계
- 일본 리얼 로봇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정치적 선악구도
- 시나리오에서 메인 캐릭터의 구축 원리
- 카프의 김유영과 프로키노 사사겐주(佐々元十) 비교연구
-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에 대한 한 고찰
- 만주영화협회의 ‘계민영화(啓民映画)’연구
- 2000년 이후의 아시아 공동 영화 제작 현상에 대한 연구
- 휴전의 상징, 비무장지대를 배경으로 한 한국영화의 영화적 특징에 관한 연구
- 가상 프린트 비용(VPF) 도입에 의한 국내 디지털 스크린 보급과 문제점 연구
- 영화연구 제57호 목차
- 회화, 무대, 영화
- 영화치료의 기초 이론 연구
- 와카마츠 코지의 생애와 작품 연구
- 소설의 영화로의 매체전이에 따른 불확정성 영역에 관한 고찰
- 영화와 소설 <상실의 시대>(Norwegian Wood)의 사유체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