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Fundamental Theory of Cinema Therap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송낙원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7호, 169~201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estern society in the last 100 years has already paid attention to the emotional purification of the art as well as its fundamental healing power. In addition,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emotional education through the arts and its therapeutic effects. The art therapy and music therapy not only have had a broad academic foundation but also have demonstrated the clinical effectiveness. However,Cinema Therapy, one of the sciences, is the branch of express treatment which just now being studied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So the Cinema therapy has not attempted sufficient clinical and training programs yet. Due to the rapid spread of digital camera, most people can not only take still pictures but also do video recording by using in-built cell phone digital camera. It indicates that film and video production, as a expressive arts is settled in everyday life. This spread of digital art would open up the possibility of treatment of visual representation. Film and video production before belonged to the expert area, because film and video recording was made by specially trained experts and was possible to invest considerable production cost. Yet now it is easy for anyone to shoot and edit their footage Facebook and blogs. Private screening can also be available through online media thus, film and video production is coming into the private sector. On one hand, in terms of visual, the cinema therapy based on the principles of art therapy. On the other hand, the cinema therapy would be examined relating to the Drama therapy in that it can create a story and show characters’ acting. Moreover, in terms of auditory the principles of music therapy will be applied. Finally, the cinema therapy has already been equipped with the narrative of bibliotherapy in that it can tell its story by writing and organize it by itself In that sense, the basic research of Cinema therapy will present therapeutic function, which has been rarely discussed in the art of the cinema. It will be also a theoretical approach to emotional education and its healing effects in the areas of expressive therapy. Furthermore, this study will be a foundation in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filmmediated cinema therapy. Consequently it will be able to broaden the studies on cinema therapy as well as its healing function.
목차
1. 서론
2. 표현 치료의 정의와 역사
3. 영화치료 또는 시네마테라피에 관한 선행 연구
4. 영화치료와 고전 영화이론의 조우
5. 작가주의, 자기 반영성, 그리고 영화적 에크리튀르
6. 영화 치료의 방법론
7.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다르 영화에서 카리나 시기 스타일 분석
- 미학적 장치와 영화적 효과의 상관관계
- 일본 리얼 로봇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정치적 선악구도
- 시나리오에서 메인 캐릭터의 구축 원리
- 카프의 김유영과 프로키노 사사겐주(佐々元十) 비교연구
-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에 대한 한 고찰
- 만주영화협회의 ‘계민영화(啓民映画)’연구
- 2000년 이후의 아시아 공동 영화 제작 현상에 대한 연구
- 휴전의 상징, 비무장지대를 배경으로 한 한국영화의 영화적 특징에 관한 연구
- 가상 프린트 비용(VPF) 도입에 의한 국내 디지털 스크린 보급과 문제점 연구
- 영화연구 제57호 목차
- 회화, 무대, 영화
- 영화치료의 기초 이론 연구
- 와카마츠 코지의 생애와 작품 연구
- 소설의 영화로의 매체전이에 따른 불확정성 영역에 관한 고찰
- 영화와 소설 <상실의 시대>(Norwegian Wood)의 사유체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