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Domestic Distribution of Digital Screens by Introducing Virtual Print Fee (VPF)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박지홍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7호, 119~1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astman Kodak is well-known for film manufacturer but in fact also has considerably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digital cinema. Thus,this study summarizes the progress of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ology vigorously led by Kodak in and around its Cineon System which was created to support the work flow of digital intermediate (DI) film production. Then, the mechanism of Virtual Print Fee (VPF) and its appli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re examined. VPF is a key concept of digital cinema distribution and has been playing a crucial role in the rapid expansion of digital screens throughout the world. It is a kind of financing mechanism for supporting movie theaters to switch their existing film projectors to the new digital projection systems through redistributing the savings realized by distributors as replacing film prints with digital prints, the so-called Digital Cinema Package (DCP). Lastly, the introduction of VPF, the deployment of digital projection systems and the distribution of digital cinema in the Korean film industry are closely investigated. Meanwhile, the problems which had already been occurred or posed in those rather abrupt processes are also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aise the issues related to ‘cinematic diversity’ to prevent a few giant corporations from monopolizing the market and to protect quite a few small businesses at risk of bankruptcy. It also expects to bring up some sorts of movements among the Korean filmmakers and others to keep the right of choice or the options both i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ne of the options may be the “celluloid”film.
목차
1. 들어가며: 필름이 사라진다
2. 디지털 시네마
3. 나오며: 필름과 디지털의 공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다르 영화에서 카리나 시기 스타일 분석
- 미학적 장치와 영화적 효과의 상관관계
- 일본 리얼 로봇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정치적 선악구도
- 시나리오에서 메인 캐릭터의 구축 원리
- 카프의 김유영과 프로키노 사사겐주(佐々元十) 비교연구
-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에 대한 한 고찰
- 만주영화협회의 ‘계민영화(啓民映画)’연구
- 2000년 이후의 아시아 공동 영화 제작 현상에 대한 연구
- 휴전의 상징, 비무장지대를 배경으로 한 한국영화의 영화적 특징에 관한 연구
- 가상 프린트 비용(VPF) 도입에 의한 국내 디지털 스크린 보급과 문제점 연구
- 영화연구 제57호 목차
- 회화, 무대, 영화
- 영화치료의 기초 이론 연구
- 와카마츠 코지의 생애와 작품 연구
- 소설의 영화로의 매체전이에 따른 불확정성 영역에 관한 고찰
- 영화와 소설 <상실의 시대>(Norwegian Wood)의 사유체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