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Keimin Eiga, the Documentary of Manturian Motion Picture Association: Focused on the Nation Building Project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려실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7호, 5~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Keimin Eiga, the documentary genre of Man-ei,Manturian Motion Picture Association. Keimin Eiga means enlightenment film and its mode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in Bunka Eiga, Japanese cultural film which was named after German Kulturfilm. I analyse several Keimin Eiga films here, which are related to the nation building project of Manchukuo, to show the matter in the true light of Manchukuo images imagined by Japanese colonialists or represented by the Japanese empire. Manzhou Tikuo Kuopingfa, which means Manchurian Military Service Law,was made to propagandize the Law and to publicize its enrolment procedure and also the contents of military training. Despite its purpose to explain the law lucidly, this film disposes inadvertently the paradox of Manchukuo itself and its military law: there was no such Manchukuo people because it was a puppet state. The other two films, Lianhe Xieyihui,the United Conference, Womende Quanlian, Our United Conference, are fake documentaries to propagandize that the nationwide united conference was a legislative organ to convey the will of those who were governed to those who govern. In this limited space, I try to show the gap between the slogans of Manchukuo described in Keimin Eiga and the reality of it through giving as possible as many examples. The bottom line is that the deliberate lie of Keimin Eiga exposed inadvertently the contradiction of the nation and the its national policy of Gojoku Kyouwa, harmony between five ethenic groups, and Nichiman Ittai, One Japan and Manchukuo.
목차
1. 들어가며
2. 계민영화의 성립과정
3. 만주국 국민의 창출과 계민영화
4.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다르 영화에서 카리나 시기 스타일 분석
- 미학적 장치와 영화적 효과의 상관관계
- 일본 리얼 로봇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정치적 선악구도
- 시나리오에서 메인 캐릭터의 구축 원리
- 카프의 김유영과 프로키노 사사겐주(佐々元十) 비교연구
-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에 대한 한 고찰
- 만주영화협회의 ‘계민영화(啓民映画)’연구
- 2000년 이후의 아시아 공동 영화 제작 현상에 대한 연구
- 휴전의 상징, 비무장지대를 배경으로 한 한국영화의 영화적 특징에 관한 연구
- 가상 프린트 비용(VPF) 도입에 의한 국내 디지털 스크린 보급과 문제점 연구
- 영화연구 제57호 목차
- 회화, 무대, 영화
- 영화치료의 기초 이론 연구
- 와카마츠 코지의 생애와 작품 연구
- 소설의 영화로의 매체전이에 따른 불확정성 영역에 관한 고찰
- 영화와 소설 <상실의 시대>(Norwegian Wood)의 사유체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