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terrelation between Aesthetic Devices and Cinematic Effects: Focusing on the Two Kinds of Recent Tendencies of Art Film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서대정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7호, 143~1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designed in an attempt to explore the new possibilities of film aesthetics. But new aesthetics will be made with interactive cinema in the digital paradigm. there is no place where past aesthetics intrude into between Fluid text and moving text. Now, the status quo in the interactive theories have fatal weakness, that is the absence of the text to prove that theories and hypotheses. Therefor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new aesthetic, after all, must be limited in the text of the floating. Cinematic paradigm have changed several times during the last century. But we admit that cinema is art recently. Far that would go down in the cinematic avant-garde artists of the 1920s. and the experiment of that time will be able to remind 1960s modernism. Numerous scholars who wrote about cinema can raise cinema as art. but cinema still does not tow the artistic concept and aesthetics Then,even in the midst of some East Asian directors are experimenting with the possibility of the most radical of film aesthetics. Apichatpong Weerasethakul of Thailand and Tsai Ming-Liang from Taiwan have made their own aesthetics with index and the concept of the sublime. But their cinema not only based on a few concepts. They carry the theme through the story and experiment with aesthetics. These artist use strange structure in order to tie various aesthetic concepts. These aesthetic experiments is possible with an insight of the ‘crisis of representation’. However, some people have different view point about that ‘crisis’ they attempt to reach a new realism with materiality of film. that cinematic tendency control Europe. I selectively analysis several films. Hence,further universality of this paper in order to gain, a more thorough analysis of multi-layered text would be made.
목차
1. 들어가며
2. 프라이타그와 숭고의 결합
3. 영화적 물질성의 무한 확장
4. 숭고와 인덱스 그리고 구조의 결합을 통한 실재와 환상의 통합
5.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다르 영화에서 카리나 시기 스타일 분석
- 미학적 장치와 영화적 효과의 상관관계
- 일본 리얼 로봇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정치적 선악구도
- 시나리오에서 메인 캐릭터의 구축 원리
- 카프의 김유영과 프로키노 사사겐주(佐々元十) 비교연구
-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에 대한 한 고찰
- 만주영화협회의 ‘계민영화(啓民映画)’연구
- 2000년 이후의 아시아 공동 영화 제작 현상에 대한 연구
- 휴전의 상징, 비무장지대를 배경으로 한 한국영화의 영화적 특징에 관한 연구
- 가상 프린트 비용(VPF) 도입에 의한 국내 디지털 스크린 보급과 문제점 연구
- 영화연구 제57호 목차
- 회화, 무대, 영화
- 영화치료의 기초 이론 연구
- 와카마츠 코지의 생애와 작품 연구
- 소설의 영화로의 매체전이에 따른 불확정성 영역에 관한 고찰
- 영화와 소설 <상실의 시대>(Norwegian Wood)의 사유체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