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Genju Sasa of Prokino and Youyoung Kim of KAPF: Focused on the Proletarian Film Movement Theor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효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7호, 323~360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roletarian film movement around 1930, was developed in Japan and Korea, was the first exercise that tried to control film culture specified passively by self-directed method. These movements was led by Youyoung Kim and Gwangje Seo in Korea and Genju Sasa and Akira Iwasaki in Japan. This paper tries to re-evaluate by replenishment from a comparison point of view of cultural history between Japan and Korea, in addition to research of proletarian film movement that are published before, It mean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proletarian cultural movement, especially the varied behavior of Youyoung Kim who was the leader of film movement of KAPF. And it also can mean special meaning to research for Genju Sasa who was the pioneer of Prokino because he has not been studied even in Japan. This paper tries to inquir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Jenju Sasa/Prokino and Youyoung Kim/KAPF film movement and research their theories of proletarian film movement of Genju Sasa and Youyoung Kim. It is not intended to evaluate the levels of two targets. This paper attempts to recognize the thought, the inner face, and outside influences of Sasa & Kim who stood in history.
목차
1. 들어가며
2. 카프영화⋅프로키노의 전개과정과 김유영⋅사사겐쥬
3. 김유영과 사사겐쥬의 세계관과 예술관
4. 사사겐쥬와 김유영의 프롤레타리아 영화운동론
5. 맺으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다르 영화에서 카리나 시기 스타일 분석
- 미학적 장치와 영화적 효과의 상관관계
- 일본 리얼 로봇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정치적 선악구도
- 시나리오에서 메인 캐릭터의 구축 원리
- 카프의 김유영과 프로키노 사사겐주(佐々元十) 비교연구
-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에 대한 한 고찰
- 만주영화협회의 ‘계민영화(啓民映画)’연구
- 2000년 이후의 아시아 공동 영화 제작 현상에 대한 연구
- 휴전의 상징, 비무장지대를 배경으로 한 한국영화의 영화적 특징에 관한 연구
- 가상 프린트 비용(VPF) 도입에 의한 국내 디지털 스크린 보급과 문제점 연구
- 영화연구 제57호 목차
- 회화, 무대, 영화
- 영화치료의 기초 이론 연구
- 와카마츠 코지의 생애와 작품 연구
- 소설의 영화로의 매체전이에 따른 불확정성 영역에 관한 고찰
- 영화와 소설 <상실의 시대>(Norwegian Wood)의 사유체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