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Melodrama and War: Focusing on discontinuous transition of
, ,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효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9호, 253~28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meanings of end of World War Ⅱ were different to each countries ;China, Japan and Korea. Chinese called it ‘miserable victory’, Japanesecalled it ‘sorrowful defeat’, on the other hand Korean recognized it afterKorean war exactly. Becaus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caused by Japan’s colonial rule, Korean started to recognize the fact afterKorean war. So each people of each counties recalls the war as each way,such cases similarly can be applied to melodramas. This paper analysis three melodramas that have been made by China,Japan and Korea and have something in common. There was not scenesof battle, moreover the fact of war didn’t work as a main motif orimportant information in these films. Only main characters just experiencedthe war that has not been seen in diegesis. However audiences would feelthe tragedy of war and recognize faintly that the nation/groups neverprotect the individuals. This paper tries to use ‘discontinuous transition’ that could be appliedto analysis the works can’t be read by reflection of reality. Discontinuoustransition usually focuses on protonarrative. In conclusion this paper interprets “Spring in a Small Town”(Fei Mu,China, 1948), “A Drifting Story (Pyolyudo)”(Gwon Yeong-sun, Korea,1960), “Floating Clouds”(Naruse Mikio, Japan, 1955) as the films depicting indirectly the devastation of war. This paper intends to let audiencesknow that the memories of the war are stored long as each way.
목차
1. 연구 목적과 ‘불연속 전이성’
2. 멜로드라마의 숨겨진 전쟁 진술
3. 전후 멜로드라마의 불연속 전이성 : 다른 진술과 같은 기억
4.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F 영화의 다문화(주의)적 시선
- 전후(戰後)의 한⋅중⋅일 멜로드라마 비교연구
- 영화음악 공연사용료 소송을 통해서 본 영화의 저작권법적 쟁점
- 문화영화의 제도화 과정
- 1960년대 쿠바영화에서의 혁명수용 형태 연구
- 한국 실험영화 감독들의 장르정체성과 해외경험에 따른 미학적, 제도적 인식의 차이
- 식민지 조선의 발성영화 상영에 대한 역사적 연구
- 경성고등연예관 연구
- 오디션 연기의 미학과 방법론 연구
-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The Talented Mr. Ripley>와 각색영화 비교 연구
- ‘새로운 영화 읽기의 제안’ 혹은비판적 시네필리아의 형성
- 영화연구 제59호 목차
- 트랜스-로컬에 관한 이론과 영화적 적용
- <8½>의 내러티브 구조 재해석
- 한국영화학회 이사회 (2013-2014)
- <디 아워스>의 오프닝 시퀀스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