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60년대 쿠바영화에서의 혁명수용 형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Cuban Cinema of the 1960s and Its Representation of the Cuban Revolution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정태수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59호, 333~36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most important thing facing Cuba after the 1959 revolution was toestablish, based on the process of the revolution, Cuba as an independentnation, which was more significant than anything else for Cuba, a nationdominated by Spain and the United States for a long time. For this, therevolutionary government of Cuba aimed to imprint its identity and realityon its peoples by bring them to a recollection of its revolution and itscolonial history. The vehicle that was to carry out the aims of therevolutionary government was cinema. Cinema became what was to realizethe political aims of the revolutionary government. The filmmaking of the1950s in Cuba already proved this role of cinema. In this regard, the Cubancinema of the 1960s was deeply related to what the revolution governmentaimed and was situated. During this period, Cuban films focused onshowing Cuba’s struggles for the revolution and its colonial experiences. It is not overwhelming that after the revolution what Cuban cinema dealtwith was absolutel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Cuba’s history as an independent nation.

목차

1. 1959년 혁명과 쿠바영화의 변화
2. 혁명투쟁 기록으로서의 영화
3. 영화 속 식민지 쿠바의 역사와 여성 이미지
4. 쿠바인들의 정체성과 현실인식으로서의 영화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태수. (2014).1960년대 쿠바영화에서의 혁명수용 형태 연구. 영화연구, (), 333-364

MLA

정태수. "1960년대 쿠바영화에서의 혁명수용 형태 연구." 영화연구, (2014): 333-3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