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Filmmakers’ Perception toward Aesthetic Components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Experimental Film: Based on the Korean Experimental Film-maker’s genre identities and cultural capital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지하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9호, 33~6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rapid change of media environment has made diversify experimentalfilmmakers’ perception toward aesthetic components of experimental film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experimental film-making. Using a statisticalmethod, the present study aimed to empirically understand how filmmakers’genre identity and cultural capital prduced the difference of theirperception on aesthetic components, institutional support. T-test showedthat filmmakers’ perception of aesthetic components and institutionalsupport were parti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re identities andcultural capitals. First off, experimenatal filmmakers perceived technology,governmental support and aesthetic value more importantly than mediaartists,meanwhile media artists evaluated interactive communication morecrucially than filmmakers. Next, filmmakers more strongly asked forgovernmental support than media artists. Thirdly, those who had culturalcapital estimated art higher than have-not, which means cultural capital isthe very factor to affect their perception of art of experimental film. However, have-not perceived filmmakers’ subjective expression higherthan have, which is contrary to other aesthetic components. Lastly,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re identity and cultural capital was found toincrease the level of difference of communication, institutional support, and aesthetic evaluation. In sum, the present study found there existed diversified filmmakers’perception toward experimental film and it influenced their actual activities. Furthermore, filmmakers’ cultural capital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symbolic axis in the filed of film production, and consequently, the levelof cultural capital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to make a difference offilmmakers’ perception on art and aesthetic components of experimental film.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문제 및 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F 영화의 다문화(주의)적 시선
- 전후(戰後)의 한⋅중⋅일 멜로드라마 비교연구
- 영화음악 공연사용료 소송을 통해서 본 영화의 저작권법적 쟁점
- 문화영화의 제도화 과정
- 1960년대 쿠바영화에서의 혁명수용 형태 연구
- 한국 실험영화 감독들의 장르정체성과 해외경험에 따른 미학적, 제도적 인식의 차이
- 식민지 조선의 발성영화 상영에 대한 역사적 연구
- 경성고등연예관 연구
- 오디션 연기의 미학과 방법론 연구
-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The Talented Mr. Ripley>와 각색영화 비교 연구
- ‘새로운 영화 읽기의 제안’ 혹은비판적 시네필리아의 형성
- 영화연구 제59호 목차
- 트랜스-로컬에 관한 이론과 영화적 적용
- <8½>의 내러티브 구조 재해석
- 한국영화학회 이사회 (2013-2014)
- <디 아워스>의 오프닝 시퀀스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