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Historical Study on Talkie Screenings in Colonial Korea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정종화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9호, 309~33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advent of the first talkie the Story of Chunhyang in colonial Koreain 1935 has played the role of a historical turning point to create a newchapter of Korean film history. In this paper, however, paying attention tothe fact that the Story of Chunhyang did not make appearance in thecolonial Korean film scene all of a sudden, I concentrate on the talkiescreenings in colonial Korea. That is why I expand the time for myresearch from 1926 when a talkie was firstly introduced, to 1930 whencolonial Korean theaters started to establish the talkie system, and to 1936when Japanese theaters equipped with the talkie system in colonial Koreabecame the three biggest theaters in the Kyŏngsŏng entertainment scene. I suggest that the practice of colonial Korean talkies should be understoodin the relationship between Western cinema and Japanese cinema. Inaddition, both introduction of the talkie system and the attempts toproduce talkies went simultaneously in the colonial Korean entertainmentscene. Especially, I discover a new fact that the PKR sound systemdeveloped by Lee Pil-woo is not a recording system for the production ofthe Story of Chunhyang, but a talkie screening system. For probing into the practice of talkies in colonial Korean cinema, Iinvestigate cinematic culture including film discourses and screeningspaces, besides the history of Korean film production, and also employcomparative film history which I set up colonial Korean cinema withinthe triangle structure of Western cinema and Japanese cinema. This research method will be meaningful in the academic field of Korean film history.
목차
1. 들어가며
2. 1926년 ‘말하는 활동사진’의 첫 상영과 소개 담론
3. 1930년 이후 경성 영화상설관의 발성영화 상영
4. 조선 발성영화의 첫 번째 실천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F 영화의 다문화(주의)적 시선
- 전후(戰後)의 한⋅중⋅일 멜로드라마 비교연구
- 영화음악 공연사용료 소송을 통해서 본 영화의 저작권법적 쟁점
- 문화영화의 제도화 과정
- 1960년대 쿠바영화에서의 혁명수용 형태 연구
- 한국 실험영화 감독들의 장르정체성과 해외경험에 따른 미학적, 제도적 인식의 차이
- 식민지 조선의 발성영화 상영에 대한 역사적 연구
- 경성고등연예관 연구
- 오디션 연기의 미학과 방법론 연구
-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The Talented Mr. Ripley>와 각색영화 비교 연구
- ‘새로운 영화 읽기의 제안’ 혹은비판적 시네필리아의 형성
- 영화연구 제59호 목차
- 트랜스-로컬에 관한 이론과 영화적 적용
- <8½>의 내러티브 구조 재해석
- 한국영화학회 이사회 (2013-2014)
- <디 아워스>의 오프닝 시퀀스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대학 등 영상교육기관들의 초고화질 영상교육의 현안과 과제-UHD를 중심으로-
- 극영화에서 프로덕션디자이너의 색채계획 방법론-색채계획 수립과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차세대 미디어를 위한 멀티채널운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