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Gyeongseong Godeung Yeonyegwan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한상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9호, 401~4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1910, Japanese Kanehara Kinjo who worked on a show business inThailand built Gyeongseong Godeung Yeonyegwan at seoul. It wasbooming in white-clad Chosun peoples. Gyeongseong Godeung Yeonyegwanwas different from the other Japanese theater. Audience were Chosunpeoples. That is why Gyeongseong Godeung Yeonyegwan is the importantsubject of Korean cinema histor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Nevertheless,Gyeongseong Godeung Yeonyegwan was not studied carefully until now. Because there is less information about it. On this research paper I foundnew facts out about Gyeongseong Godeung Yeonyegwan. The important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Gyeongseong GodeungYeonyegwan owner was Kanehara Kinjo who ran the Geumwon store. Films were distributed by Watanabe Tomoyori of K-Diamond company. Second is film distribution of Gyeongseong Godeung Yeonyegwan. Ifount out K-Diamond company distributed film to Gyeongseong GodeungYeonyegwan. It was not Hukusaki Entertainment what was mentioned byLee Koo-Young. Third, Gyeongseong Godeung Yeonyegwan producedsome actualité films such as at 1911, and showed thosefilms. This moves up the beginning of film production in Korea as early1910. Fourth, I explained the reasons why Gyeongseong GodeungYeonyegwan dropped out of a race. These facts about Gyeongseong Godeung Yeonyegwan fills a vacuumin Korean cinema histor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se facts raise the necessity of borderless studies about the early Korean cinemahistory which coexisted with Thailand, Japan, and Western film.
목차
1. 들어가며
2. 경성고등연예관의 설립 주체
3. 필름의 배급과 프로그램의 교체 주기
4. 활동사진 및 환등제작
5. 경성고등연예관의 폐관
6. 나오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SF 영화의 다문화(주의)적 시선
- 전후(戰後)의 한⋅중⋅일 멜로드라마 비교연구
- 영화음악 공연사용료 소송을 통해서 본 영화의 저작권법적 쟁점
- 문화영화의 제도화 과정
- 1960년대 쿠바영화에서의 혁명수용 형태 연구
- 한국 실험영화 감독들의 장르정체성과 해외경험에 따른 미학적, 제도적 인식의 차이
- 식민지 조선의 발성영화 상영에 대한 역사적 연구
- 경성고등연예관 연구
- 오디션 연기의 미학과 방법론 연구
-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The Talented Mr. Ripley>와 각색영화 비교 연구
- ‘새로운 영화 읽기의 제안’ 혹은비판적 시네필리아의 형성
- 영화연구 제59호 목차
- 트랜스-로컬에 관한 이론과 영화적 적용
- <8½>의 내러티브 구조 재해석
- 한국영화학회 이사회 (2013-2014)
- <디 아워스>의 오프닝 시퀀스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커피 프랜차이즈 기업의 캐릭터 콜라보레이션 전략 연구 - 큐렌들리 마케팅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