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정배치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Indicators of Out-of-Home Placements in Children with Serious Emotional Disturbance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유서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7권 제4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장애(Serious Emotional Disturbance, SED)를 가진 아동들이 가정으로부터 벗어나 거주가 제한된 생활중심의 시설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정외배치(Out-of-Home Placement)의 영향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들은 미국의 정신보건 프로그램(Childrens Partnership)에 참여한 정서장애 아동과 그 가족들이다. 초기면접과 사정단계에서 파악된 아동과 가족의 특성을 이용해, 초기 면접 후 일년 간 이들이 경험하게 될 가정외배치의 유무를 예측하였는데, 연구의 이론적 모형과 각 변수들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두 변수씩 세 개의 블록(Block)으로 구성된 일련의 위계적 이항회귀분석(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이 실시되었다. 분석모형에 투입된 세 가지의 요인 군 중, 아동의 심리 및 기능장해를 측정하는 병리적 변인들이 미래의 가정외배치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였으며, 기술적 변인(DSM 진단내용과 위험요인)과 예방적 변인(강점척도와 가족기능)들은 병리적 변인들의 영향력이 고려된 후에는 종속변수에 대한 독자적인 설명력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기능장해를 평가하는 CAFAS라는 척도가 정서장애 아동들의 가정외배치를 잘 예측해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천현장의 특수교사나 상담가, 사회복지사들이 가정외배치의 위험이 높은 정서장애 아동들을 면접 초기에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 줄 뿐 아니라, 그 정보를 바탕으로 개별화된 초기 개입과 장기적인 교육 및 서비스를 수립하는데도 기여 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indicators of out-of-home placements in children with serious emotional disturbances(SED). Using samples from Children's Partnership, a systems of care program funded by the Center for Mental Health Services (CMHS) that serves children with SED, the study predicted future out-of-home placements in children with SED. A series of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conceptual models and impacts of each indicators. Results suggested descriptive indicators (diagnostic information and risk factors) and protective indicators (the BERS and the FAD)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future out-of-home placements. Only two pathological indicators, as a set, showed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predicting future out-of-home placements. The CAFAS, which is measuring functional impairment of children with SED, demonstrated a strong individual relationship with out-of-home placements even after controlling for all the other indicators in the model. Findings of the study help clinicians identify children with high risk of out-of-home placement from the beginning, and assist them utilize profile information for their service planning and the early inter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개념적 틀
Ⅲ. 연구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기의 초기 중이염과 후기 언어발달의 관련성에 관한 문헌의 연구방법과 결과의 고찰
- 장애 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참여를 위한 통합학급 교사의 수행 능력
- 가정배치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신지체 특수학교 수학교육용 CD-ROM Title의 내용 및 품질 분석
- 난화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도형-배경 변별과 보고 쓰기 오류에 미치는 효과
- 에스퍼거 장애 아동에 대한 비장애 아동의 수용태도 조사
-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 청각장애학생의 산술 문장제 해결 능력에 대한 연구
- TV광고를 활용한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조음 및 음운장애아동과 일반아동간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 통합학급 아동의 장애급우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특성
-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팀 접근 전략에 관한 문헌고찰
- 일반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의뢰전 중재 적용 실태
- 통합 환경에서의 단계별 놀이프로그램이 자폐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지역 내 협력적 통합교육 프로그램 제공에 필요한 교사 재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실태 조사
- 초등학교 학습장애 판별 준거에 관한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