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Inclusive Education: An analysis of Curriculum in Australia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해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7권 제4호, 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통합교육의 실행은 물리적 통합과 사회적 통합의 단계를 거쳐 교육과정적 통합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수준으로 진전되어 왔다.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이 증대되면서 장애학생의 통합으로 더욱 넓어진 학생의 다양성의 범위를 고려하기 위해서 일반교육과정 자체가 모든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보다 융통성 있게 개발개정 되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일반교육과정의 이러한 변화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에서부터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이라는 철학이 반영되어야 하며, 지역수준과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재구성 과정에도 일관성 있게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호주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차기 교육과정의 개정을 앞두고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호주 사례의 분석 결과로서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운영을 위한 시사점이 교육과정 개발과정, 내용, 구성/형식의 측면에서 제시된다.
영문 초록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on has gone through three phases including physical inclusion, social inclusion, and curricular inclusion. As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has been increasingly mentione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have argued that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have to be restructured in order to satisfy the needs of all students. This curriculum restructuring process would have to be start from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development. Then, the embedded philosophy of the appreciation of the student diversity should consistently underpin regional and school-level curriculum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urriculum in Australia in order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for inclusion in Korea. The implications are presented in terms of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content, and organ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호주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Ⅲ.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기의 초기 중이염과 후기 언어발달의 관련성에 관한 문헌의 연구방법과 결과의 고찰
- 장애 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참여를 위한 통합학급 교사의 수행 능력
- 가정배치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신지체 특수학교 수학교육용 CD-ROM Title의 내용 및 품질 분석
- 난화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도형-배경 변별과 보고 쓰기 오류에 미치는 효과
- 에스퍼거 장애 아동에 대한 비장애 아동의 수용태도 조사
-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 청각장애학생의 산술 문장제 해결 능력에 대한 연구
- TV광고를 활용한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조음 및 음운장애아동과 일반아동간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 통합학급 아동의 장애급우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특성
-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팀 접근 전략에 관한 문헌고찰
- 일반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의뢰전 중재 적용 실태
- 통합 환경에서의 단계별 놀이프로그램이 자폐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지역 내 협력적 통합교육 프로그램 제공에 필요한 교사 재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실태 조사
- 초등학교 학습장애 판별 준거에 관한 논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