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난화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도형-배경 변별과 보고 쓰기 오류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Scribble Activity on the Figure-Ground Discrimination and Copy Writing Error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윤희봉 양정미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7권 제4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정신지체아동에 있어서 난화활동이 도형-배경 변별과보고 쓰기 오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B시의 S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입급된 2, 3, 4학년의 정신지체아동 3명이었고, 이들은 DTVP검사에서 시지각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그림그리기는 좋아했으나 보고 쓰기에 오류를 보이는 아동들이었다. 연구방법은 사전-사후검사법을 채택했고, 실험도구는 게임형식의 숨겨진 이미지 찿기에 초점을 맞춘 난화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정신지체아동에 있어서 난화활동은 도형-배경변별 능력이나 보고 쓰기 오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과 그러한 난화활동 과정 속에서 관찰되는 행동의 변화도 긍정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도출한 결론은, 첫째로 앞으로 이루어질 이와 유사한 연구에서 좀 더 다양하고 흥미있게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개발함으로써 정신지체아동의 도형-배경 변별 능력 향상이나 보고 쓰기 오류 감소에 더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고, 둘째로 난화활동의 기능에 대한 보다 확장되고, 다양한 변인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라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ect of scribble activity, on the figure-ground discrimination and copy writing error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children who were in 2nd, 3rd and 4th grade enrolled in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class in B city. These three subjects were shown visual-perception problems in a DTVP Test, had copy writing errors and liked art activity. As the method of this study, pre-post test method was employed, the scribble activity w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effects of scribble activity on figure-ground discrimination and copy writing error were dependent variables. The experimental instruments employed in this study were scribble activity programs focused on finding images in the scribble and used as a game. The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scribble activity had positive effects on figure-ground discrimination and copy writing error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respectively.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is thought that supplementing and planning of more various and interesting programs in further study can do much more contribution on figure-ground discrimination and copy writing error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study various variables to extend the function of scribble activit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기의 초기 중이염과 후기 언어발달의 관련성에 관한 문헌의 연구방법과 결과의 고찰
- 장애 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참여를 위한 통합학급 교사의 수행 능력
- 가정배치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신지체 특수학교 수학교육용 CD-ROM Title의 내용 및 품질 분석
- 난화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도형-배경 변별과 보고 쓰기 오류에 미치는 효과
- 에스퍼거 장애 아동에 대한 비장애 아동의 수용태도 조사
-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 청각장애학생의 산술 문장제 해결 능력에 대한 연구
- TV광고를 활용한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조음 및 음운장애아동과 일반아동간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 통합학급 아동의 장애급우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특성
-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팀 접근 전략에 관한 문헌고찰
- 일반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의뢰전 중재 적용 실태
- 통합 환경에서의 단계별 놀이프로그램이 자폐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지역 내 협력적 통합교육 프로그램 제공에 필요한 교사 재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실태 조사
- 초등학교 학습장애 판별 준거에 관한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