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 환경에서의 단계별 놀이프로그램이 자폐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s of stepwise play program on social interac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autism in inclusive setting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미경 김은선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7권 제4호, 1~44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31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합환경에서의 단계별 놀이 프로그램이 자폐장애아동의 비언어적 상호작용과 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이를 구명하기 위해 2004년 9월 2일부터 12월 12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8세의 자폐성 아동 남 2명으로 선정하였고 연구의 목적에 따라 통합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과 놀이의 중요성과 사회적 행동 발달과 자폐장애아동의 사회적 특성을 탐색하고 본 연구와 관련된 이론과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연구방법은 일반아동 3명, 자폐장애아동 1명을 한 소집단으로 2소집단을 구성하여 통합교육 환경을 조성하였으며, 본 연구를 위한 실험 설계는 AB설계로 하였고 실험절차는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유지 단계로 구성하였다. 중재단계에 들어가기 전에 기초선 기간을 두고 3회 측정하여 중재단계와 비교하였다. 중재단계는 1회에 40분씩, 주 2회 교실 및 강당에서 놀이를 실시하였으며 총 23회기의 훈련과정을 거쳤다. 자료 측정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비언어적 상호작용과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나누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표적행동 6항목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측정하였으며 보조교사 1명과 함께 관찰 및 비디오 분석에 의해 기록하였다. 그리고 자료처리는 아동별 관찰 결과를 각 하위영역별, 사례별 점선 그래프로 나타내고 해석하였다.연구 결과 자폐장애아동만을 대상으로 놀이활동을 시킨 것 보다 통합교육환경을 조성하여 놀이집단을 구성하여 놀이를 적용한 것이 대상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hat a stepwise play program in inclusive setting reveals the effect of an autistic child in social interaction. This stepwise play program divides into 4 sections, adjusting to a suitable development level in children; a person, two people, four people and total play. For this program, 8 children and 1 teacher assistant a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tion. However, the subject of studying is only two autistic children of eight old age, the rest of them are made of inclusive setting as general children. Experimentation plan for this studying constructs AB method and the processing has a shape of a step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Before starting a intervention, a baseline could be measu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기의 초기 중이염과 후기 언어발달의 관련성에 관한 문헌의 연구방법과 결과의 고찰
- 장애 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참여를 위한 통합학급 교사의 수행 능력
- 가정배치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정신지체 특수학교 수학교육용 CD-ROM Title의 내용 및 품질 분석
- 난화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도형-배경 변별과 보고 쓰기 오류에 미치는 효과
- 에스퍼거 장애 아동에 대한 비장애 아동의 수용태도 조사
- 통합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
- 청각장애학생의 산술 문장제 해결 능력에 대한 연구
- TV광고를 활용한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정신지체아동의 어휘력에 미치는 영향
- 조음 및 음운장애아동과 일반아동간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 통합학급 아동의 장애급우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특성
-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팀 접근 전략에 관한 문헌고찰
- 일반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의뢰전 중재 적용 실태
- 통합 환경에서의 단계별 놀이프로그램이 자폐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지역 내 협력적 통합교육 프로그램 제공에 필요한 교사 재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실태 조사
- 초등학교 학습장애 판별 준거에 관한 논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